노인기준 상한 논의 본격화 될듯
88%가 "정년연장에 찬성"
1인가구 비율 39.3% 매년 증가
|
서울시는 9일 이같은 내용을 담은 '2024 서울서베이' 결과를 발표했다. 서울서베이는 사회환경 변화에 따른 서울시민의 인식과 삶의 질, 생활상, 가치관 등 전반적인 사회상을 파악하기 위해 2003년부터 매년 발표하는 자료다. 항목에 따라 가구(2만가구, 가구원 3민6280명), 시민(5000명), 서울거주 외국인(2500명)을 대상으로 조사를 실시하고 있다.
이번 조사에서 눈에 띄는 대목은 조사에 응답한 시민 51.7%가 70~74세를 노인으로 생각한 부분이다. 평균은 70.2세다. 특히 65세 이상 응답자들은 노인 기준연령을 72.3세라고 답해 65세 미만 응답자(69.8세)보다 2.5세 더 높게 인식했다. 또 조사에서 고령화에 따른 정년연장 여부에 대해 87.8%가 동의해 서울시민 10명 중 9명은 정년연장에 찬성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이러한 조사 결과는 정부의 노인 연령 기준 상향 논의와 맞물려 주목된다. 현재 노인 기준연령은 65세로, 지난해 말 기준 전체 주민등록 인구 가운데 65세 이상을 차지하는 비율이 20%를 넘겨 한국은 '초고령사회'로 진입했다. 서울시 역시 올해 진입할 것으로 예상돼 노인 기준연령을 상향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초고령화로 인한 노인 복지 지출 급증이 원인인데, 심각한 노인빈곤 문제가 악화되지 않도록 정년·연금 등 제도 변화를 함께 추진해야 한다는 지적이 나온다.
저출산고령사회위원회는 범부처 노인연령상향 회의를 개최할 예정인 것으로 알려졌다. 기획재정부, 보건복지부, 고용노동부, 국토교통부, 서울시 등이 참여하는 이 회의에서는 노인연령 상향에 따른 영향을 검토할 전망이다. 보건복지부 역시 다음 달 '노인 연령 전문가 간담회'를 통해 노인 연령 기준의 상향 폭을 논의할 예정이다. 서울서베이 결과는 제5차 저출산 고령사회 기본계획에도 반영될 가능성이 높아, 향후 노인 기준연령 상향 논의가 본격화될 것으로 전망된다. 특히 서울시의회에서도 올 초 50세 이상 서울시민 600명을 대상으로 진행한 여론조사에서 응답자의 74%가 노인 연령 기준 상향에 찬성한다고 답한 바 있다.
|
또한 이번 조사에서 사회경제적 계층이동에 대한 긍정적 답변이 나온 것도 주목할 만 하다. '사회경제적 계층이동 가능성'에 대한 질문에 가능성이 '높다'가 30.5%, '낮다'는 24.5%로 이동 가능성이 '높다' 응답이 2020년 17.2%과 비교했을때 13.3%포인트 급격하게 상승했다. '자녀의 계층이동 가능성'에 대한 질문 역시 '높다'가 44.5%, '낮다'가 13.7%로 '낮다' 응답이 5년간 꾸준한 하락세를 보였다.
한편, 서울의 1인가구 비율은 39.3%로, 이 중 60세 이상이 40.6%로 가장 많았다. 반려동물을 키우는 가구는 19.5%로, 이 중 1인가구가 36.4%를 차지했다. 주요 통근·통학 교통수단은 버스(27.7%)였으며, 가구의 절반(48.2%)이 통근·통학에 30분~1시간 미만이 소요된다고 답했다. 교통수단별 만족도는 버스가 7.41점으로 전년 대비 가장 큰 폭으로 상승했다. 서울거주 외국인 2명 중 1명(48.4%)은 서울의 랜드마크로 '광화문광장'을 꼽았으며, 서울 생활 만족도는 6.97점으로 전년 대비 상승했다.
강옥현 시 디지털도시국장은 "서울시민의 삶의 질과 생활상을 파악할 수 있는 서울서베이 결과를 시정 운영과 정책 수립 기초자료로 활용해 시민들에게 더 나은 일상을 제공하겠다"고 강조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