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전국 월세 비중 처음으로 60% 돌파…지방 빌라 83%

기사듣기 기사듣기중지

공유하기

닫기

  • 카카오톡

  • 페이스북

  • 트위터 엑스

URL 복사

https://ww2.asiatoday.co.kr/kn/view.php?key=20250401010000077

글자크기

닫기

전원준 기자

승인 : 2025. 04. 01. 08:41

월세 비중, 4년 만에 20%p 급등
보증금 미반환 등 전세사기 및 지방 부동산 시장 침체 겹쳐
서울 공인중개사무소
서울 마포구 한 부동산 중개업소 외벽에 붙은 매매·전월세 매물 안내문을 한 시민이 쳐다보고 있다. /연합뉴스
전국 신규 주택 전월세 거래에서 월세가 차지하는 비중이 처음으로 60%를 넘어선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지방에서는 다세대·다가구 등 비(非)아파트 세입자 10명 중 8명 이상이 월세 계약을 맺을 정도로 '월세화' 현상이 짙어졌다.

1일 국토교통부가 발표한 '2월 주택통계'에 따르면 올해 1∼2월 전국 전월세 신규 거래 중 월세(보증부 월세·반전세 포함)가 차지하는 비중은 61.4%다.

1∼2월 기준으로 이 비중은 2021년 41.7%에서 2022년 47.1%, 2023년 55.2%에 이어 지난해 57.5%로 급격히 늘어난 뒤 올해 처음으로 60%를 넘어섰다.

권역별로는 수도권이 60.2%로 1년 새 3.1%포인트(p) 증가했고, 지방은 63.5%로 5.4%p 늘었다. 서울의 월세 비중은 65.2%다.

아파트 월세 비중이 매년 조금씩 높아지는 반면 '빌라'(연립·다세대주택)로 대표되는 비아파트 월세 비중은 큰 폭으로 증가하고 있다.

전국 아파트 월세 비중은 올해 1∼2월 44.2%로 1년 새 2%p 늘어난 반면, 비파아트 월세 비중은 76.3%로 1년 전보다 5.6%p 커졌다.

지방 비아파트의 월세 비중이 82.9%로 가장 높고, 서울 76.1%, 수도권 73.2% 였다. 지방 빌라는 대부분이 전세가 아닌 월세 계약을 하고 있다는 뜻이다.

보증금 미반환 등 전세사기로 인한 전세 기피 현상과 함께 지방 부동산 침체가 맞물린 영향으로 해석된다.

함영진 우리은행 부동산리서치랩장은 "금리 인하 기조와 전세사기 여파 등으로 일부 임대인은 전세보증금 반환 보증 가입이 가능할 만큼 전가세율(매매가격 대비 전세금 비율)을 낮추고, 나머지는 월세로 전환하며 월세화가 동시다발적으로 이뤄지고 있다"며 "경기 둔화로 금리가 낮아질수록 월세화 흐름은 강해질 수 있다"고 말했다.
전원준 기자

ⓒ 아시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제보 후원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