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역 불확실성 불구 안정화 신호
외신의 시장 전망치 부합
|
기업 구매 담당자 대상 조사를 바탕으로 작성되는 PMI는 관련 분야의 경기 동향을 보여주는 지표라고 할 수 있다. 50보다 높으면 경기 확장, 낮으면 경기 수축 국면을 의미한다.
중국 제조업 PMI는 당국이 잇따라 경기 부양 의지를 피력했던 지난해 10월 50.1로 확장 국면으로 돌아서 석달 연속 50 이상을 유지한 바 있다. 그러다 지난 1월 49.1로 하락, 경기 확장 분위기에 찬물을 끼얹었다. 다행히도 지난 2월 50.2로 올라서면서 확장 국면으로 다시 돌아섰다. 이달에도 이를 유지했다.
기업 규모별로 보면 대기업 PMI는 51.2로 전달보다 1.3P 하락했다. 그러나 중형기업 PMI는 49.9, 소형기업 PMI는 49.6으로 전달 대비 각각 0.7P, 3.3P 상승했다.
이외에 건설업과 서비스업으로 구성되는 비제조업 PMI는 3월 50.8로 전달보다 0.4P올랐다. 업종별로는 건설업 업황지수가 53.4로 0.7P, 서비스업 업황지수도 50.3으로 0.3P 상승했다. 제조업과 비제조업을 종합한 중국 3월 PMI는 51.4로 전월 대비 0.3 상승했다.
이에 대해 국가통계국은 "이달에는 춘제(春節·구정 또는 설) 요인의 영향이 점차 사라지면서 기업의 생산 경영 활동이 가속화됐다"면서 "중국의 경제가 전반적으로 확장세를 이어갔다"고 평가했다.
중국 정부는 현재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관세 위협에 대응하기 위해 각종 소비 진작책을 통해 내수 확대에 주력하고 있다. 확실히 효과도 분명히 나타나고도 있다. 하지만 이런 상황이 오래 지속되지는 않을 것으로 보인다고 전문가들은 분석하고 있다. 미국의 추가 관세 정책이 시행되면 아무래도 중국의 수출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 확실하기 때문이 아닐까 싶다. 트럼프 대통령이 추진하는 관세 및 무역전쟁의 위력은 역시 대단하다고 해야 할 것 같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