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적응형 품종 및 재배기술 개발 지속
원예농산물 안정생산·공급 지원사업 시동
|
농식품부는 강원 평창 알펜시아리조트에서 '기후변화 대응 고랭지채소 생산안정 대토론회'를 열고 이같은 내용을 논의했다고 9일 밝혔다. 토론회에는 농식품부를 비롯해 관계부처, 유관기관, 주요 생산자단체, 유통업체 등 전문가 100여명이 참석했다.
농식품부에 따르면 최근 기후변화로 여름 고랭지 채소 재배에 부적합한 농지가 증가하고 있다. 이상기후 및 연작으로 단위면적당 수확량(생산단수)이 급감해 재배면적과 생산량도 지속 감소하고 있다.
고랭지 채소 주산지인 강원의 경우 2024년 재배면적은 10년 전과 비교했을 때 약 76%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대응해 정부와 지방자치단체는 기후적응형 품종 및 재배기술 개발·보급을 지속 추진하고, 토양개선을 위한 약제·영양제를 지원할 계획이다.
또한 농업 지속성을 위한 소득 안정 장치를 마련하기 위해 채소가격안정제를 '원예농산물 안정생산·공급 지원사업'으로 개편한다. 기존 사업 대상을 노지 채소에서 사과·배 등 과수까지 확대할 방침이다.
농업수입안정보험도 확대 운영해 농가 영농불안을 최소화해 나간다.
소비자들이 합리적인 가격에 국산 농산물을 구매할 수 있도록 다양한 품위와 시세 정보도 확대 제공한다.
김종구 농식품부 식량정책실장은 "기후변화에 대응한 농산물의 안정적 공급에 각계각층에서 많은 관심을 주셔서 감사하다"며 "앞으로도 현장 목소리를 면밀히 반영하고 정책적 지원을 아끼지 않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