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징지르바오(經濟日報)를 비롯한 언론의 최근 보도를 종합하면 현재 중국의 전체 실업률은 미국을 비롯한 서방 세계와 비교할 경우 비교적 안정적이라고 할 수 있다. 대략 5% 초반 수준에 불과하다.
하지만 16∼24세 청년들의 실업률이 화제가 되면 완전히 달라진다. 지난 4월의 경우 무려 20.4%를 기록했다면 더 이상 설명은 필요 없다. 5월에는 18.4%로 떨어지기는 했으나 별로 의미가 없다고 해도 좋다. 언제든지 다시 20%를 넘어설 가능성이 상존한다고 봐야 하는 탓이다.
상황이 어느 정도인지는 현실 속으로 깊숙하게 들어가보면 잘 알 수 있다. 베이징에서 지난해 대학을 졸업한 가오수슝(高樹雄) 씨는 지난 1년 동안 취업을 위해 무려 100장의 이력서를 작성했다고 한다. 그러나 연락을 해온 기업은 단 한 곳도 없었다. 100전 100승이 아니라 그 반대라고 해야 할 것 같다.
산둥(山東)성 옌타이(煙臺)의 한 국유기업이 최근 진행한 신입사원 채용과 관련한 화제 역시 거론할 필요가 있다. 1000명 남짓 모집한다는 공고를 냈는데 지원자는 무려 10만명을 넘었다. 이 기업은 할 수 없이 인공지능(AI) 프로그램을 통해 일일이 이력서를 체크할 수밖에 없었다.
청년 실업자들이 '아이훙볜예(哀鴻遍野·기근에 시달리는 이재민)'라는 고사성어로 자신들의 처지를 자조적으로 표현하는 현실이 말해주듯 이처럼 상황이 상당히 심각한 양상을 보이는 것에는 다 이유가 있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의 여파로 지난 3년 동안 경제가 침체 상태에서 벗어나지 못했던 현실을 무엇보다 우선 꼽을 수 있다. 한마디로 치명상을 입은 이후의 후유증 내지 내상이 아직 완전히 치료되지 않고 있다는 말이 된다.
미중 무역전쟁 역시 이유로 부족하지 않다. 아무래도 경제가 타격을 입으면서 청년들 대상의 고용 시장이 얼어붙게 된 것이다. 이외에도 외자 및 중국 기업들의 공장 해외이전 러시, 4차 산업 업계에 거세게 불고 있는 감원 돌풍 등도 청년실업이 맹위를 떨치는 이유로 꼽힌다.
그러나 문제는 이제 시작이라는 사실이 아닐까 싶다. 앞으로 상황이 더욱 나빠질 것이라는 얘기가 될 수 있다. 실제로 중국 재계에서도 최근 이 현상이 2025년에 최고조에 이를 것이라고 비관적으로 관측한 바 있다. 경제 당국과 청년들의 고민이 깊어질 수밖에 없을 듯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