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일 한국부동산원에 따르면 올해 1월 기준 서울 아파트의 외지인 매입 비중은 전월 20.2%에 비해 1.9%포인트(p) 오른 22.1%를 기록했다. 이는 금리 인상이 본격화한 지난해 7월(24%) 이후 6개월 만에 가장 높다.
외지인의 서울 아파트 매입 비중은 지난해 하반기인 8월 16.5%, 9월 13.8%, 10월 14.6% 11월 17.5% 등 10%대를 유지했다. 그동안 20%대를 기록했던 예년과 비교하면 절반 수준에 불과한 것이다.
업계에서는 이처럼 외지인의 서울 아파트 매수 비중이 높아진 것은 서울 아파트 선호 현상, 집값 바닥론, 정부 규제 완화 등이 종합적으로 작용한 결과로 보고 있다. 특히 노도강(노원·도봉·강북구)의 경우 외지인 매입 건수가 타 자치구에 비해 많았다.
도봉구의 외지인 매입 비중은 31.5%로 30%대를 넘겼고, 노원구도 28.0%로 높은 수치를 보였다. 이들 자치구의 외지인 매입 비중은 서울의 1월 전체 외지인 매입 비중인 22.1%을 크게 웃돌았다. 이는 9억원 이하 중저가 단지 매수를 노린 외지인들이 많다는 것을 의미한다.
정부의 안전진단 규제 완화 후 초기 재건축 단지가 외지인들에게 투자처로 주목받은 것도 요인으로 꼽힌다. 외지인 매입 비중이 높은 마포구를 비롯해 영등포·노원구 등에는 재건축 단지가 많다. 영등포구의 경우 지난해 12월부터 올해 2월까지 3개월간 전체 거래 149건 가운데 67건을, 노원구는 같은 기간 전체 200건 중 56건을 외지인이 매입했다.
장재현 리얼투데이 리서치본부장은 "아파트값 하락과 정부의 규제 완화 등으로 인해 앞으로 수도권이나 지방 핵심지가 아닌 이상 서울에 있는 아파트를 사두려는 '서울 쏠림 현상'이 심해질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