친명계 "절차·시기 관련 고민 더 해야"
"당원 부족 영남 보완책 필요" 지적 속
"공천 비리 배제 이점 크다" 목소리도
|
25일 정치권에 따르면 민주당은 전날 당무위에서 '1인 1표제' 개정안을 의결했으나, 최종 관문인 중앙위원회를 28일에서 다음 달 5일로 연기했다. 표면적으로는 정 대표가 한발 물러선 모양새다. 그럼에도 이날 아침 주요 방송과 언론 인터뷰 등은 '1인 1표제'에 대한 당내 의원들의 우려 섞인 목소리로 채워졌다.
친명계로 분류되는 강득구 의원은 CBS라디오에서 "1인 1표제 방향에는 동의하지만 절차와 시기에 대한 고민이 더 담겨야 했다"면서 "대구·경북(TK) 등 취약 지역에 대한 보완책 없이 도입되면 전국 정당화가 요원해질 수 있다"고 했다. 그는 또 전 당원 투표율이 16.8%에 그친 점을 언급하며 "홍보와 숙의 과정이 부족했다는 것을 보여준다"고 했다.
윤종군 의원도 KBS 라디오에 출연해 "영남 당원은 인구 대비 절대적으로 부족하다"며 "보완 없이 1인 1표제로 가면 김대중·노무현·이재명 대통령이 추진해 온 '동진 정책'과 전국 정당화 취지에 맞지 않는다"고 지적했다.
김지호 대변인은 이언주 최고위원이 전날 회의 도중 퇴장한 사실을 언급하며 내부 공세에 나섰다. 김 대변인은 CBS 라디오에서 "최고위 석상에서 공개 비판하고 나가는 모습은 10년 만에 처음 본다"고 말했다. 이 최고위원은 전날 회의에서 "이재명 대통령이 해외 순방으로 부재한 상황에서 이렇게 이의가 많은 안건을 밀어붙여 당원을 분열시킬 필요가 있느냐"고 직격한 뒤 회의장을 떠난 바 있다.
박지원 의원은 이날 YTN 라디오에서 1인 1표제 도입 당위성을 강조했다. 그는 "영남이 손해를 보고 호남이 득이 될 수 있겠지만 공천 비리를 배제할 수 있는 이점이 크다"고 말했다. 또 "정 대표가 설득 노력에 나선 만큼 통과되면 좋겠다"고 말했다. 전현희 최고위원 역시 채널A 인터뷰에서 "1인 1표제 자체에 대한 반대가 아니라 숙의 절차에 대한 지적일 뿐"이라며 진화에 나섰다.
갈등의 기저에는 '차기 당권 경쟁'이 깔려있다는 분석이다. 정 대표가 지난 전당대회에서 대의원 투표에서 밀렸던 점을 의식해 자신에게 유리한 '재선용 룰'을 만드는 것 아니냐는 것이다. 정 대표는 지난 8월 임시 전당대회에서 경쟁자였던 박찬대 의원을 권리당원 투표에서는 30%포인트(p) 이상 앞섰다. 그러나 전국대의원 투표에서는 박 후보에게 6.18%p 밀렸다. 당시 대의원의 표 반영 비율이 권리당원의 17배였던 점을 고려할 때, 권리당원 투표에서의 압승이 정 대표의 당선에 결정적인 영향을 미친 셈이다.
서용주 전 민주당 상근부대변인은 이날 CBS 라디오에서 "정 대표가 연임을 생각한 것 아니냐는 오해를 받을 만한 상황은 맞다"며 "당심과 민심을 이격시키는 것은 맞지 않다"고 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