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5일 이찬희 삼성준법감시위원장은 서울 서초구 삼성생명 사옥에서 열린 4기 정례회의를 앞두고 기자들과 만나 "아직까지 저희가 전혀 내용을 알 수 없는 입장이지만 오늘 위원회에서 한번 합의 안건으로 이 문제를 다뤄볼지를 위원님들과 논의하겠다"고 밝혔다.
앞서 삼성바이오로직스 상생지부는 삼성바이오로직스 인사팀 공용 폴더가 전 직원에게 노출되면서 임직원의 개인정보는 물론 내부 인사자료까지 무방비로 공개됐다고 주장했다. 해당 폴더에는 삼성전자 사업지원TF(현 사업지원실)의 인사 관련 지시 정황, 노조에 대한 특별관리 내용, 불공정한 고과 평가, 인사팀의 정신건강센터 상담 기록 관리 내역 등이 포함됐다는 노조 주장도 있어 사안의 중요성이 상당히 무겁다.
삼성바이오로직스는 그동안 분식회계 논란과 산업안전 이슈 등 각종 리스크에 노출돼 왔지만 준감위 관리 대상에는 포함되지 않아 비판이 이어져 왔다. 무엇보다 이번 논란은 삼성전자 사업지원실 개입 의혹이 제기되고 있고 협약사인 삼성물산이 삼성바이오로직스의 최대주주인 만큼 준감위가 이를 외면하기는 어려울 것이란 분석이 제기된다. 일각에서는 최근 불거진 인사 관리 부실 의혹 등 내부 통제 문제가 남아 있다는 지적도 적지 않다. 삼성그룹 노동조합연대는 지난 19일 박학규 삼성전자 사업지원실 사장과 이찬희 삼성준법감시위원회 위원장에게 면담을 요청한 바 있다.
이 위원장은 "삼성물산을 감사할 수 있는 권한은 없지만 삼성물산 자체로 혹시라도 그것(정보유출 이슈)에 대해서 어떤 문제점이 있는지에 대해서는 검토가 필요하다고 생각한다"며 준감위 차원의 검토 가능성을 열어뒀다.
준감위는 삼성전자, 삼성물산 등 7개 관계사와 협약을 맺어 준법감시 업무를 위탁받아 수행하고 있다. 이번 논의는 준감위가 관계사인 삼성물산을 통해 바이오로직스 이슈에 간접적으로 접근할 수 있을지를 가늠하는 자리가 될 전망이다.
이 위원장은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의 등기임원 복귀 문제에 대해서 "책임 경영이라는 측면에서 많은 위원들이 공감하는 부분이 있다"며 "(복귀에 대한) 제 신념에 변화가 있을 만한 특별한 이유는 아직 없다"고 재확인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