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시정부 1919년 국제연맹회의에 일제 통치 실상 알리고자 편찬
총 4권 완질 형태는 처음…역사적 가치가 큰 독립운동 유산
|
국가보훈부 국립대한민국임시정부기념관은 임시정부가 1919년 국제연맹회의에서 대한민국 독립의 역사적 당위성과 일본의 식민통치 실상을 알리기 위해 편찬한 한일관계사료집을 국외소재문화유산재단으로부터 기증받았다고 23일 밝혔다. 국외소재문화유산재단은 이 사료집을 지난해 미국 내 한인 소장자로부터 확보했다.
한일관계사료집은 총 네 권으로 739쪽에 달한다. 임시정부는 1919년 7월, 중국 상하이에서 안창호, 이광수, 김홍서 등 33인이 참여한 '임시사료편찬회(臨時史料編纂會)'를 조직해 편찬작업에 들어갔다. 불과 석 달도 되지 않는 짧은 기간 동안 긴박하게 편찬작업이 진행돼, 같은 해 9월 23일 등사본(謄寫本·등사기로 찍어서 만든 책이나 인쇄물)으로 완성·배포했다.
편찬 당시 약 100질(400권)이 제작된 것으로 알려져 있지만, 현재까지 완질(完帙·한 권도 빠짐없이 권수가 완전히 갖추어진 책) 형태로 존재하는 사례가 극히 드물어, 이번 사료집은 역사적 가치가 큰 독립운동 유산으로 평가받고 있다.
|
국립대한민국임시정부기념관은 이관받은 사료집의 손상된 재질 보존처리 및 소독 등 전문 복원 과정을 거쳐 국민과 미래세대가 직접 접할 수 있도록 공개할 계획이다.
김희곤 국립대한민국임시정부기념관장은 "이번 한일관계사료집 입수는 임시정부의 역사와 독립운동의 정신을 생생히 전할 수 있는 뜻깊은 성과"라며 "복원·보존 과정을 충실히 진행해 국민 누구나 이 귀중한 자료를 직접 보면서, 임시정부 선열들의 조국독립을 위한 희생과 헌신을 느낄 수 있도록 하겠다"고 밝혔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