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주·캐나다에 공급망 구축
|
국가 첨단산업에 꼭 필요한 전략자원의 확보라는 측면뿐 아니라, 철강 불황이 장기화하는 상황에서 그룹의 또 다른 미래 핵심축인 이차전지소재 육성에 큰 걸음을 내디뎠다는 평가다.
12일 포스코홀딩스는 호주 대표 광산기업 미네랄 리소스가 신규 설립하는 중간 지주사의 지분 30%를 약 7억6500만 달러(1조원)에 인수한다고 밝혔다.
이번 투자와 관련해 장인화 포스코그룹 회장<사진>은 "글로벌 1위의 리튬 기업으로 도약하기 위해서는 원료 경쟁력 확보가 무엇보다 중요한 만큼 적극적인 투자를 통해 글로벌 리튬 공급망을 다변화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이번 투자를 통해 포스코홀딩스는 서호주의 글로벌 톱티어 리튬 광산 '워지나'와 '마운트마리온'으로부터 연간 27만톤의 리튬 정광을 안정적으로 확보할 수 있게 됐다. 이는 수산화리튬 3만7000톤을 생산할 수 있는 양이며, 전기차 약 86만대에 들어가는 분량이다.
포스코홀딩스는 우량 염수 리튬 확보에도 속도를 내고 있다. 염수 리튬은 물을 증발시켜 얻어내는 것으로, 포스코홀딩스는 지난 5일 6500만 달러(약 950억원)를 투자해 캐나다 자원개발회사 LIS의 아르헨티자 현지 법인 지분 100%를 인수했다.
LIS는 아르헨티나 옴브레 무에르토 염호 내 광권을 보유한 회사다. 호주 투자와 도합 규모는 1조1000억원에 달한다.
포스코홀딩스는 지난 2018년에도 옴브레 무에르토 염호의 주요 광권을 인수한 바 있다. 인접해 있는 광권을 추가로 인수하면서 세계 최고 수준의 고품위 리튬이 매장된 옴브레 무에르토 염호에서 추가 자원과 부지를 확보하게 된 셈이다. 인프라와 운영 노하우가 이미 구축돼 있어 아르헨티나 현지에서 추진 중인 기존 리튬 사업과 시너지도 추구할 수 있게 됐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