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월 초 제도 개편 후, 한 달 집행률 42.2%로 급등
유동수 의원 "초기 집행 부진은 대응 준비 미흡의 방증"
|
22일 국회 정무위원회 소속 유동수 의원 (더불어민주당 정책위 경제수석부의장 )이 산업은행으로부터 제출받은 국정감사 자료에 따르면, '위기대응 특별프로그램' 신설 이후 8 월까지 지원 실적은 4개 기업, 150억원에 불과해 집행률이 0.5%에 그친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따라 산업은행은 9월 초 제도 개편에 나섰다. 중소기업 지원 한도는 30억원에서 300억원으로, 중견기업은 50억원에서 500억원으로 확대했다. 또한 대기업을 새로 지원 대상에 포함해 한도를 1000억원으로 설정하고, 금리 인하 폭도 기존 0.2%에서 최대 0.5%로 넓혔다.
제도 개편 이후 9월 한 달 동안 107개 기업에 1조2510억원이 집행돼 누적 집행률은 42.2%로 급등했다. 하지만 제도 개편 이전의 부진한 집행 실적과 급격한 프로그램 개편은 피해 예상기업에 대한 수요 조사 등 사전 준비가 미흡했다는 비판을 받고 있다.
산업은행은 이와 별도로 중소·중견기업의 수출경쟁력 강화를 위해 2조원 규모의 '수출경쟁력 강화프로그램'도 운용 중이다. 지원 대상은 최근 2년간 수출 실적이 있는 기업으로, 관세 피해 기업은 두 프로그램의 중복 지원을 받을 수도 있다. 다만 지원 목적이 다른 만큼 자금이 실제 취지에 맞게 집행되고 있는지 사후 관리가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유동수 의원은 "미국 관세위기로 인해 수출기업 피해가 코 앞인데 정작 자금은 책상 위에만 머물러 있었다"며 "추경을 통해 신속 대응을 목표로 만든 프로그램이 초기 두 달간 사실상 멈춰 있었다는 것은 피해예상기업 수요조사나 준비가 부족했음을 의미한다"고 지적했다. 이어 "9월 실적 급증은 국정감사를 앞두고 초반 부진을 만회하기 위한 '자금 밀어내기식 집행'으로 비칠 수 있다"며 "관세 부담은 대기업보다 자금 여력이 부족한 중소기업과 2 차 벤더기업에 더 큰 타격을 주는 만큼, 대기업 편중을 방지하고 중소기업 중심의 맞춤형 지원을 강화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