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12개의 소리가 하나로, 산 정상에서 울리는 도시의 기억

기사듣기 기사듣기중지

공유하기

닫기

  • 카카오톡

  • 페이스북

  • 트위터 엑스

URL 복사

https://ww2.asiatoday.co.kr/kn/view.php?key=20250925010013683

글자크기

닫기

전혜원 기자

승인 : 2025. 10. 15. 13:50

2025 서울국제공연예술제 16일 개막
'소리'로 펼치는 실험의 새 지평
[붙임2] 안상욱_ 12 사운드_ 공연 사진
안상욱의 '12 사운드' 공연 모습. /예술경영지원센터
12개의 스피커에서 무질서하게 흘러나오던 소리들이 어느 순간 조화를 이루며 하나의 음악으로 탄생한다. 한편, 낙산공원 정상에 오른 관객들은 서울 전경을 내려다보며 도시 곳곳에 숨겨진 이야기들을 '소리'로 재발견한다.

올해로 25회를 맞는 '2025 서울국제공연예술제'(SPAF)가 이처럼 파격적인 사운드 실험으로 공연예술의 새로운 패러다임을 제시한다. 오는 16일부터 11월 9일까지 서울 일대에서 열리는 이번 축제는 '얽힘과 마찰'을 주제로 22편의 작품을 선보인다.

올해 가장 주목받는 작품은 안상욱 작가의 '12 사운드'(12 Sounds)다. 아트코리아랩과 3년간의 협력을 통해 탄생한 이 작품은 18~19일 성북구 '디스 이즈 낫 어 처치'에서 공연된다. "소리가 넘쳐나는 시대에 어떻게 새로운 소리를 세상에 내놓아야 할까?" 안상욱 작가의 이 질문에서 출발한 '12 사운드'는 12명의 음악가로부터 받은 소리를 디지털 기술과 결합해 전혀 새로운 음악을 창조한다. 12개의 스피커에서 동시에 흘러나오는 서로 다른 소리들이 공간 안에서 만나고 충돌하며, 관객은 그 과정에서 탄생하는 새로운 음악적 경험을 목격한다.

또 다른 주목작인 '위트니스 스탠드 서울: 소리의 기념비'는 한국과 호주 예술가들이 함께 만든 국제 공동 프로젝트다. 22~24일 낙산공원 전망대에서 펼쳐지는 이 작품은 서울이라는 도시를 소리로 재해석하는 실험이다. 관객들은 정상에서 예술가들과 함께 서울의 소리를 만들고 청취하는 특별한 경험을 하게 된다.

[붙임2] 아수나_100개의 키보드_공연 사진
아수나의 '100개의 키보드' 공연 모습. /예술경영지원센터
이번 축제는 다양한 파격적 실험들로 가득하다. 서울문화재단과 협력한 '에세즈 메세즈: 당나귀들의 반란'은 관객이 직접 참여해 서사를 만들어가는 8시간짜리 집단 참여형 게임 퍼포먼스다. 일본 아수나의 '100개의 키보드'는 100대의 토이 키보드가 만들어내는 공명으로 소리를 공간 전체로 확장한다.

유럽 무대에서 주목받는 우카시 트바르코프스키의 '디 임플로이'는 인간과 휴머노이드가 함께 일하는 우주선을 배경으로 노동과 정체성에 대한 근본적 질문을 던진다. 구자하의 '하리보 김치'는 음식과 로봇 퍼포머를 통해 이민자의 정체성을 탐구하며, 태국 연출가 위차야 아르타맛의 '반 쿨트, 무앙 쿨트'는 금기시되는 사회 담론을 유머러스하게 해체한다.

김장호 예술경영지원센터 대표는 "SPAF는 지난 25년간 한국 공연예술을 세계에 알리고 교류의 장을 만들어 왔다"며 "앞으로도 국제적 위상을 높이고 예술가와 관객이 만나는 플랫폼으로 발전하도록 할 것"이라고 밝혔다.

[붙임2] 구자하_하리보 김치_공연사진
구자하의 '하리보 김치' 공연 모습. /예술경영지원센터
전혜원 기자

ⓒ 아시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제보 후원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