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국산 전기 야드트랙터 첫 도입…탄소중립 항만 전환 속도

기사듣기 기사듣기중지

공유하기

닫기

  • 카카오톡

  • 페이스북

  • 트위터 엑스

URL 복사

https://ww2.asiatoday.co.kr/kn/view.php?key=20250825010012035

글자크기

닫기

세종 이지훈 기자

승인 : 2025. 08. 25. 13:37

내달 12일 부산항 신항서 운영사 간담회
참고자료_250826(조간)_항만에_국산_무탄소_하역장비_보급한다(항만물류기획과)
전기 야드트랙터 실증테스트 모습 / 제공=해양수산부
해양수산부는 다음달 12일 부산항 신항에서 컨테이너 터미널 운영사를 대상으로 국산 전기 야드트랙터 도입 간담회를 개최한다고 25일 밝혔다. 야드트랙터는 항만 내에서 컨테이너를 운반하는 대표적 이송장비로, 현재는 경유나 LNG 기반 장비가 주로 사용된다.

해수부는 올해부터 항만 내 탄소배출을 줄이기 위해 '항만 무탄소화 전환 지원 사업'을 추진 중이다. 최초의 국산 전기 야드트랙터 도입에 앞서 지난 7월부터 부산항 신항 4부두에서 실제 운전을 통한 실증테스트를 진행하고 있다.

이번 간담회에서는 그간의 테스트 실적을 공유하고 장비 시연도 함께 이뤄질 계획이다. 특히 국산 전기 야드트랙터의 성능과 내구성, 배터리 안전성, 충전 편의성 등 부두에서 장비를 활용하기 위해 필요한 기능을 중점 검증한다. 다음달 19일부터는 공모를 통해 지원을 받을 부두 운영사를 모집하고, 장비 도입 비용의 50%(국비 25%·항만공사 25%)를 지원할 계획이다.

허만욱 해수부 해운물류국장은 "강화되는 환경 규제 속에서 항만의 탄소배출 감축을 위해서는 하역장비의 친환경 전환이 중요하다"며 "이번 지원사업이 마중물이 돼 친환경 항만으로의 전환을 촉진하고, 국내 항만장비 산업이 성장해 나가기를 기대한다"고 말했다.
이지훈 기자

ⓒ 아시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제보 후원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