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관세 압박에 균열 난 미·인도…중국에 손 내미는 모디

기사듣기 기사듣기중지

공유하기

닫기

  • 카카오톡

  • 페이스북

  • 트위터 엑스

URL 복사

https://ww2.asiatoday.co.kr/kn/view.php?key=20250818010008204

글자크기

닫기

김도연 기자

승인 : 2025. 08. 18. 15:27

트럼프 위협에 인도, 중국과 관계 개선 속도
수천km에 달하는 국경 분쟁 등 갈등 요인 많아
"인도의 친중 제스처, 전략적 계산 가능성 커"
Trump Modi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지난 2월 13일(현지시간) 워싱턴 백악관 이스트룸에서 열린 나렌드라 모디 인도 총리와의 공동 기자회견 도중, 텔레프롬프터 유리에 반사된 샹들리에를 바라보고 있다./AP 연합뉴스
미국과 인도의 관계가 관세 갈등으로 삐걱대자, 인도와 중국이 최근 관계 개선에 속도를 내고 있다. 지난해 시진핑(習近平) 중국 국가주석과 나렌디라 모디 인도 총리의 정상회담 이후 양국은 교류 확대에 나서며, 미국 견제를 위한 전략적 재조정에 나섰다는 분석이 나온다.

뉴욕타임스(NYT)는 중국 입장에서는 미국과 인도의 갈등이 자국에 유리하게 작용하는 예상 밖의 '선물'이 되고 있다고 18일 보도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인도에 25%의 상호관세를 부과한 데 이어, 지난 7일에는 러시아산 원유 수입을 이유로 25%의 추가 관세를 부과하며 인도에 총 50%의 관세폭탄을 투하했다.

이로 인해 안보·기술 분야 등에서 수년간 쌓아온 양국 협력이 흔들리고 있다. 양국은 그동안 중국의 팽창을 견제한다는 공통의 목표 아래 긴밀히 협력해왔으나, 이번 조치로 신뢰가 크게 손상된 것이다.

반면 인도와 중국은 관계 개선에 속도를 내고 있다. 전환점은 지난해 10월 브릭스(BRICS, 중·러 주도 신흥국 협의체) 정상회의가 열린 러시아 중서부 타타르스탄 공화국 카잔에서였다. 시 주석과 모디 총리는 2019년 이후 다시 만나 정상회담을 가졌다.

이후 양국은 △비자 규제 완화 △직항 노선 복원 논의 △인도 성지 순례단의 티베트 방문 허용 △국경 무역거점 3곳 재개 방안 협의 등 관계 복원 조치를 이어가고 있다.

중국 외교 수장인 왕이(王毅) 외교부장은 이날 인도를 방문해 국경 문제 논의를 재개할 예정이다. 왕 부장의 인도 방문은 3년 만으로, 양국 관계 정상화를 상징하는 행보로 평가된다.

모디 총리 역시 7년 만에 중국을 방문, 8월31일~9월1일 톈진(天津)에서 열리는 상하이협력기구(SCO) 정상회의에 참석할 예정이다. 이 자리에는 시 주석과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도 참석한다.

NYT는 중국과 인도의 관계 개선 움직임에도 불구하고 양국 간에는 여전히 많은 갈등 요인이 존재한다고 짚었다. △약 3380km에 달하는 국경 분쟁 △중국의 파키스탄 지원 △글로벌 공급망 재편 과정에서 인도의 야심 등이 대표적이다.

비자이 고칼레 전 인도 주중대사는 최근 '타임스 오브 인디아' 기고문에서 "양국은 여전히 많은 이해가 엇갈린다"면서도 "중국은 자본·기술 공급자이자 기후변화 대응의 협력 파트너로, 트럼프 행정부가 초래한 국제적 혼란 속에서 인도와 다른 개발도상국들에 중요한 균형추 역할을 할 수 있다"고 평가했다.

린민왕 푸단대 교수는 "중국은 인도의 접근을 환영할 수 있지만, 국가적 핵심 이익에서 후퇴하지는 않을 것"이라며 "특히 파키스탄과의 관계는 중국이 양보하지 않을 부분"이라고 강조했다. 그는 또 "인도의 최근 친중 제스처는 미국과의 악화한 관계에서 나온 전략적 계산일 가능성이 크다"고 평가했다.

실제로 인도는 △중국 자동차업체 비야디(BYD)의 공장 설립을 거부했고 △틱톡 등 중국 앱을 금지하는 등 중국 기업의 영향 확대를 견제하고 있다. 중국은 이 같은 규제를 완화하는 것을 관계 개선의 전제조건으로 내세우고 있다.

미국과 인도의 갈등은 미국·일본·호주·인도가 참여하는 쿼드(Quad) 협력체의 향방에도 변수가 될 수 있다. 인도가 예정대로 연내 쿼드 정상회의를 개최할지는 미국과 인도가 무역 갈등을 봉합할 수 있는지에 달려 있다는 평가다.
김도연 기자

ⓒ 아시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제보 후원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