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에너지 전환, 기회와 과제②] 국산 태양광 자존심 ‘OCI’, 中 견제 흐름 속 ‘슈퍼 싸이클’ 기다린다

기사듣기 기사듣기중지

공유하기

닫기

  • 카카오톡

  • 페이스북

  • 트위터 엑스

URL 복사

https://ww2.asiatoday.co.kr/kn/view.php?key=20250817010007673

글자크기

닫기

김한슬 기자

승인 : 2025. 08. 17. 17:03

하반기 말레이공장 본격 재개
美탈중국 움직임에 수혜 전망
내년 미 현지서 셀 공장 완공
소재에서 발전까지 밸류체인 완성
말레이공장
OCI홀딩스 말레이시아 공장 전경. /OCI홀딩스
clip20250817161728
clip20250817161809
국내 대표 화학기업인 OCI홀딩스가 태양광 사업에 뛰어든 지 20여년, 회사는 제2의 도약을 꿈꾸고 있다. 기존에 폴리실리콘 등 태양광 소재 일부에 집중해 왔다면, 셀·모듈과 태양광 발전까지 태양광 밸류체인을 완성하기 위한 작업에 돌입하면서다. 그 시작으로 태양광 시장의 불확실성 속에서도 미국에 셀 생산 공장을 구축하겠단 계획을 발표했다. 일찌감치 국내에서 동남아시아로 거점을 옮기며 한차례 혁신을 겪어온 회사는 이제 미국 현지로 세를 확장해 중국 공세에 맞설 '태양광 종합 사업자'로서 거듭나겠다는 의지다.

17일 OCI홀딩스에 따르면 OCI홀딩스의 말레이시아 공장 OCI테라서스는 이달 중으로 가동률을 80% 이상, 다음달에는 100%로 높여 태양광 사업을 본격 재개할 예정이다.

국내 주요 태양광 업체들에 최근 5년여는 그야말로 격변의 시기였다. 2021~2023년만 해도 신재생에너지에 대한 전세계적인 높은 관심과 미국 IRA(인플레이션감축법) 등의 영향으로 역대 최고 실적을 올렸다. 그 기간 동안 OCI홀딩스는 2008년부터 약 15년 동안 국내에서 생산했던 폴리실리콘 공장을 2022년 말레이시아로 완전히 옮겼다. 원가 절감 등 가격 경쟁력을 크게 끌어올리기 위한 조치였다. 그 덕분에 당시 2022~2023년 20%대의 영업이익률을 기록하기도 했다.

하지만 2023년부터 중국산 공급 과잉에 따른 가격 경쟁력 악화, 고금리 기조 등으로 부진을 겪었다. 그 여파로 OCI홀딩스의 말레이시아 공장 역시 올해 5월 가동을 완전히 중단한 바 있다.

올해 들어 업계는 다시 회복세를 전망하고 있다. 그중에서도 태양광업계는 미국 상무부의 정책에 주목하고 있다. 올해부터 미국에서 중국산 폴리실리콘 웨이퍼에는 50%의 관세가 물리고 있다. 최근 발표한 OBBBA(대규모감세법안)에는 금지외국기관(PFE)이라는 새 규정을 만들어 원재료에서부터 중국산을 금지하려는 조치에 나섰다. 또 해당 법안에 따르면 태양광 설비 설치 비용에 대한 세액공제 시기는 2032년까지다. 거스를 수 없는 신재생에너지 산업의 확장과 당장의 현지 혜택 등을 고려해 국내 태양광업계가 발빠른 투자를 고려해야 하는 셈이다.

이에 OCI홀딩스는 미국에서 생산능력을 키운다는 방침이다. 올해 OCI홀딩스는 미국 태양광사업 자회사인 미션솔라에너지(MSE) 부지에 독자적으로 태양광 셀 생산 공장을 세운다고 발표했다. 약 3800억원을 투자하는 이번 공장은 내년 상반기 본격적인 상업 생산에 들어가 하반기 2GW(기가와트) 이상의 생산 능력을 확보할 계획이다.

이번 공장은 특히 회사의 태양광 밸류체인 형성을 위한 계기가 될 전망이다. 이미 OCI홀딩스는 미국 태양광 사업 지주회사인 OCIE의 자회사 OCI에너지를 통해 태양광 발전 및 관련 설비사업을 영위하고 있다.

OCI에너지는 올해 이스라엘 태양광 회사 아라바파워와 태양광 프로젝트를 공동 추진하는 등 지속적인 수익 창출에 나서고 있다. 여기에 MSE의 기존 모듈 공장과 셀 공장까지 마련되면 폴리실리콘-셀·모듈-발전에 이르기까지 종합 태양광 사업을 운영하게 된다.

하반기 중국에서 자체적인 태양광 감산 조치가 이뤄질 것이란 점도 OCI홀딩스에게 기회요인이다. 공급과잉이 해소되면 가격이 정상화되며 비중국 폴리실리콘에 대한 가치가 다시 올라갈 예정이다. 현재 폴리실리콘을 대량 생산하는 것은 국내 업체 중에서 OCI홀딩스가 유일하다. 비중국업체로는 독일 바커(6만5000톤), OCI홀딩스(3만5000톤), 미국 햄록(1만톤) 등이 전부다.

OCI홀딩스 관계자는 "OBBBA를 통해 새롭게 도입된 FEOC(우려 외국기업), PFE 등의 조항으로 비중국 폴리실리콘으로 태양광 셀을 만들고, 태양광 발전소를 짓는 OCI홀딩스와 같은 태양광 기업에 새로운 기회가 될 것"이라고 밝혔다.
김한슬 기자

ⓒ 아시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제보 후원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