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연합 |
4인 가구가 줄어든 것은 두말할 필요도 없이 저출생 문제가 심화되고 있기 때문이다. 반면 3인 이하 가구는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부모와 자녀 1명 등으로 이뤄진 3인 가구는 지난 6월 말 기준 406만8207가구로, 4인 가구를 훨씬 웃도는 수준이다.
특히 1인 가구는 우리 사회의 '대세'가 됐다. 지난해 3월 1인 가구 수가 처음으로 1000만 가구를 넘어서며 3∼4인 가구를 합친 규모보다 많아졌다. 1인 가구는 지난 6월 말에는 1023만2016가구로 전체의 42%를 넘어섰다. 저출생 기조 속에 이 같은 가구 규모 축소는 당분간 계속될 것이 분명하다. 한때 중고교 교과서에도 실렸던 '4인 가구 기준'이라는 말은 이제는 현실과 동떨어진 표현이 됐다.
이에 따라 4인 가족 중심으로 설계된 주택·복지·노후 보장 등 각종 정책의 대전환이 불가피하다. 정부도 인구 추세에 적응하려 노력해 왔지만 여전히 많은 정책이 '결혼해 자녀를 둔 4인 가족'을 기준으로 만들어져 있는 게 현실이다. 인구 규모 축소는 고독사, 돌봄 공백, 사회적 단절 등의 문제로 이어질 수 있다. 지난해 보건복지부 조사에 따르면 65세 이상 1인 가구 중 '의지할 사람이 없다'고 답한 비율이 37.2%에 달했다.
소규모 가구가 확산되는 추세에 발맞추어 정부는 특히 1인 가구의 노후 보장·복지·연금 문제를 지금보다 훨씬 더 정교하게 설계해야 한다.
주거정책도 크게 손질해야 한다. 과거 3~4인 가족 거주에 특화된 전용면적 84㎡(공급면적 기준 32~35평형)가 아파트 '국민평형'으로 불렸다면, 최근에는 1~3인 가구 거주에 적합한 전용 59㎡(23~26평)가 새 국민평형으로 떠오르고 있다. 공공은 물론 민간 주택 공급에도 이러한 변화가 신속히 반영되도록 해야 한다.
1인 가구에 대한 관심이 과거에 비해 높아졌지만 거의 대부분 노년층에 초점이 맞춰져 있다. 이제는 전 세대별로 1인 가구가 급증하고 있고 그 원인도 개인적·가정적·사회적 요인에 따라 매우 다양하다. 복지·취업·주거·심리적 지원 등 맞춤형 대책을 신속히 마련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