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기아 영업익 24% 미끄러졌는데… ‘성과급 1억’ 달라는 노조

기사듣기 기사듣기중지

공유하기

닫기

  • 카카오톡

  • 페이스북

  • 트위터 엑스

URL 복사

https://ww2.asiatoday.co.kr/kn/view.php?key=20250728010015622

글자크기

닫기

김정규 기자

승인 : 2025. 07. 27. 17:59

노사, 내달 12일 상견례 후 임단협
성과급 영업익 30%·주 4일제 요구
관세·美 EV 보조금 폐지 등 맞물려
관계자 "과도한 요구땐 협상 장기화"
기아가 받아쥔 25% 급감한 영업이익 성적표에 국가경제 빨간 불이 켜진 와중에도, 노조가 인당 1억원이 넘는 성과급을 달라는 데 목소리를 높이고 있다. 기아로선 미국 관세 협상에 회사 명운이 달린 시점, 강력한 내부 협력과 결속을 요청해야 할 판에 맞닥뜨린 이중고다.

그렇게 기아 노사는 8월 둘째 주 상견례를 시작으로 올해 임금 및 단체협약(임단협) 교섭을 시작한다. 업계 안팎에선 수년간 이어져 온 무분규 타결 기조가 깨질 수 있다는 우려와 함께, 경영상 어려움을 외면한 무리한 요구가 결국 노사 모두에게 부담으로 돌아올 수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27일 업계에 따르면 기아 노사는 다음 달 3일까지 예정된 공장 여름휴가가 끝난 직후인 12일 상견례를 갖고, 본격적인 임단협에 돌입할 계획이다.

앞서 기아 노조는 지난 11일 기본급 14만1300원 인상에 지난해 영업이익 30% 성과급, 주 4일 근무제 도입 등을 골자로 하는 노조 측 요구안을 사측에 전달했다.

올해 노조의 요구안에서 핵심 쟁점 중 하나는 단연 성과급 산정 기준이다. 기아 노조는 기존 순이익 기준이 아닌 영업이익 기준으로 성과급을 30% 지급하라고 요구하고 있다. 지난해 기아의 영업이익은 12조6671억원으로 역대 최대 실적이었고, 노조 요구대로라면 1인당 성과급이 1억원을 웃돌게 된다.

하지만 사측은 미국발 관세 여파로 올해 들어 실적이 급감하고 있는 만큼, 노조의 과도한 요구에 난색을 보이는 분위기다.

기아는 지난 2분기 매출액은 29조3496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6.5% 늘었지만, 영업이익이 2조7648억원으로 무려 24.1%나 감소했다.

관세 영향으로 줄어든 영업이익 감소분은 7860억원으로, 7000억원대 초반이었던 당초 예상보다 규모가 커졌다는 게 업계 분석이다. 삼성증권에 따르면 하반기에 기아의 대응 노력이 반영되더라도 매달 2800억원의 영향은 피할 수 없을 것이라 분석했다.

여기에 현대차와 달리 미국 현지 공장이 조지아 공장 한 곳이라 현지 생산 확대가 어려운 구조라는 점도 영업익 급감에 영향을 미쳤다.

김승준 기아 재경본부장 전무는 지난 25일 열린 실적 콘퍼런스 콜에서 "상반기에는 관세에 따른 고객들의 선수요가 있었다"면서 "9월 말로 예정된 미국의 전기차 보조금 폐지 등이 맞물려 하반기는 아마 상반기보다 더 어려운 상황이라 판단하고 있다"고 예상했다.

업계에선 올해처럼 영업이익이 급감하는 상황에서 고액의 성과급을 지급할 경우, 기아의 장기 경쟁력에도 악영향을 줄 수 있다는 우려가 커지고 있다.

그간 4년 연속 무분규로 임단협을 마무리했던 기아 노사이지만, 올해만큼은 그 공식이 깨질 수 있다는 전망이 나오고 있다. 기아는 지난 2021년 이후 4년 연속 무분규 임단협 타결을 이어왔다.

통상 기아는 현대차의 임단협 협상 흐름을 일정 부분 따라가는데, 이미 지난달 18일 상견례를 시작으로 교섭을 이어가고 있는 현대차 노사도 지난 23일까지 12차례의 교섭을 진행했지만, 통상임금 및 정년 연장 등을 둘러싸고 입장차를 좁히지 못하고 있다.

업계 관계자는 "현실적으로는 추석 전까지 협상을 마무리하는 것이 가장 이상적인 시나리오"라면서도 "노조가 현재의 경영 환경을 고려하지 않은 과도한 요구를 고수할 경우 협상 장기화는 피하기 어려울 것"이라고 내다봤다.
김정규 기자

ⓒ 아시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제보 후원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