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번에 선정된 주택재개발 후보지는 △용산구 신창동 29-1일대 △구로구 구로동 466일대 △구로구 개봉동 153-19일대 △도봉구 방학동 641일대 △동작구 신대방동 344-132일대(신대방3) △동작구 흑석동 204-104일대(흑석10) △동작구 상도동 201일대(상도23) △성북구 삼선동1가 277일대(삼선3) 등 총 8곳이다. 이번 추가 선정으로 신속통합기획 재개발 추진구역은 총 122곳이 됐다.
시는 주거환경개선이 시급한 지역 중에서 지난 공모 미선정 사유 해소 여부, 주민갈등 여부 및 진출입로 확보 가능 여부 등을 전반적으로 고려해 이번 후보지를 선정했다고 설명했다.
용산구 신창동 29-1일대는 이전에 미선정된 지역이나, 수시 선정 등 그간 개선된 후보지 선정방식을 반영해 재신청한 주민들의 사업추진의지가 강한 지역으로 이번 후보지로 선정됐다.
구로구 구로동 466일대는 구로차량기지 인근의 반지하주택 비율이 높은 열악한 노후 주택지이고, 개봉동 153-19일대는 개봉3 주택재건축 남측에 연접한 노후 저층주거지로 주거환경개선의 필요성이 인정돼 후보지로 선정됐다.
도봉구 방학동 641일대는 여러 차례 재개발 후보지에 미선정된 지역이다. 북한산 주변 고도지구 높이완화 등 변경된 정책 반영으로 이번 후보지로 선정됐다.
|
동작구 상도동 201일대(상도23)는 장승배기역 인근 지역으로 호수밀도, 반지하주택 비율이 높고 접도율이 낮은 열악한 노후 주택지로 주변 상도동 일대 신속 통합기획 재개발, 모아타운과 어우러진 정주환경이 될 것으로 예상된다.
성북구 삼선동1가 277일대(삼선3)는 삼선3 정비예정구역이 해제된 지역이다. 역사문화환경보존지역에 걸쳐있어 건축밀도에 대한 사전타당성 용역이 진행됐다.
후보지로 선정된 8개 구역은 올 하반기 내 신속통합기획 및 정비계획 수립용역을 착수할 예정이다. 또한 재개발 후보지의 투기방지를 위해 권리산정기준일은 구역 여건에 따라 '자치구청장 후보지 추천일'로 지정되며, 토지거래허가구역 및 건축허가제한도 별도 고시 등을 통해 안내할 예정이다.
최진석 서울시 주택실장은 "2030 도시·주거환경정비기본계획을 반영해 사업성을 대폭 개선하고 신속통합기획으로 신속한 주택공급과 더 나은 주거공간을 만들 수 있도록 행정적 지원을 다하겠다"로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