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른 나라와는 협상 시작" 투트랙 전략
|
이에 대해 중국 정부는 강력 반발하며 추가 관세 발언을 "협박"이라고 비판하고 "끝까지 맞설 것"이라고 경고했다. 이에 따라 미·중 간 무역 갈등은 걷잡을 수 없이 확산하며 치킨게임 양상을 띠고 있다.
중국 상무부는 성명을 통해 "미국이 중국에 대해 추가로 50%의 관세를 부과하겠다는 위협을 가했다는 점을 주목했다"며 "중국은 자국의 이익을 지키기 위한 대응 조치를 취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어 "미국의 대중 관세 확대 위협은 실수 위에 또 다른 실수를 더한 것"이라며 "중국은 결코 이를 수용하지 않을 것"이라고 경고했다.
앞서 중국은 지난주 트럼프 대통령의 대중 상호관세 조치에 맞서 미국산 수입품에 대해 34%의 보복관세를 부과하겠다고 발표한 바 있다. 트럼프 대통령이 언급한 이번 추가 조치가 실제로 시행될 경우, 중국산 제품에 대한 미국의 전체 관세는 최대 104%까지 치솟을 수 있다. 이는 지난 2월, 3월에 각각 발표된 추가 관세 20%(10%+10%)와 지난 2일 발표한 상호 관세 34%에 이번에 새로 언급된 50%를 더한 것이다.
일부 품목은 트럼프 1기 시절부터 부과된 관세를 포함해 실질 세율은 120%대까지 높아질 수 있다. 트럼프 대통령은 또 "추가 협상은 없다"며 협상 중단 가능성도 시사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맞불 관세를 발표한 중국에 대해선 강경한 태도를 보였지만, 앞다퉈 트럼프 대통령에게 연락을 취하고, 대표단을 워싱턴 D.C.로 파견하거나 미국산에 대해 관세 인하 계획을 제출하고 있는 다른 나라에는 유화적인 제스처를 보이는 강온 투트랙 전략을 구사하고 있다.
트럼프 대통령이 중국 이외의 다른 나라들과는 협상을 즉각 시작하기로 함에 따라 한국의 경우 8∼9일 미국을 찾는 정인교 통상교섭본부장과 협상이 이뤄질 것으로 예상된다.
트럼프 대통령은 취임 이후 철강·알루미늄·자동차 및 그 부품에 대해 25%의 품목별 관세를 도입한 데 이어 지난 5일부터 전세계 교역 상대국에 10%의 기본 관세(보편 관세)를 부과했다. 아울러 미국은 9일부터 한국(25%)·중국(34%)·유럽연합(EU·20%)·일본(24%) 등 60여개 국가·지역에 대해서는 상호관세를 부과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