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21년 걸린 송전망 연결…북당진-신탕정 선로 완공

기사듣기 기사듣기중지

공유하기

닫기

  • 카카오톡

  • 페이스북

  • 트위터 엑스

URL 복사

https://ww2.asiatoday.co.kr/kn/view.php?key=20250402010001052

글자크기

닫기

김민환 기자

승인 : 2025. 04. 02. 11:00

서해안 발전제약 해소
충청·수도권 전력 안정화
전력망 수용성 새 전기
346838_551608_2645
송전선로 모습./연합
2003년 첫 삽을 뜬 이후 무려 21년이 걸린 '345kV 북당진-신탕정 송전선로' 사업이 마침내 결실을 맺었다.

2일 산업통상자원부는 충남 당진에서 345kV 북당진-신탕정 송전선로 준공식을 열고, 국가 전력망 구축의 전환점을 알렸다.

이번 송전선로는 충남 당진 북부에서 수도권과 충청 내륙으로 전력을 안정적으로 공급하기 위한 핵심 인프라다. 그러나 초기 입지 선정과 주민 수용성 문제로 인허가가 지연됐고, 이후 공사도 수차례 지체되며 사업은 장기화됐다. 결국 운전 개시까지 21년이 소요되며 국내 전력망 사업 가운데 최장기간을 기록했다.

사업 지연으로 인해 충남 서해안 발전소들은 전력 생산 능력에 비해 송전 용량이 부족해 출력이 제한됐고, 전력당국은 타 지역에서 비싼 전력을 구매해야 했다. 산업부는 이번 송전선로 완공으로 연간 약 3500억 원의 전력 추가구입비를 절감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동시에 충청과 수도권의 전력 수급 안정성이 강화되고, 국가첨단전략산업 특화단지로 지정된 천안·아산 지역의 디스플레이 산업 투자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전망이다.

이날 행사에 참석한 최남호 산업부 제2차관은 21년 동안 단 한 건의 중대재해가 없었던 점을 높게 평가하면서, 앞으로 안전관리를 철저히 할 것을 당부했다.

이어 '국가 미래 경쟁력을 좌우할 대규모 국가기간 전력망 적기확충 총력 경주'를 언급하면서, "오는 9월 시행을 앞두고 있는 전력망특별법을 통해 범정부·지자체가 참여하는 새로운 전력망 거버넌스와 지역주민 보상·지원의 대폭 확대 등을 통한 전력망의 수용성을 확보하는 새로운 패러다임 실현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전력망특별법은 송전망 사업의 핵심 과제였던 수용성 확보와 인허가 지연 해소를 위해 마련됐다. 정부는 이 법을 통해 지자체의 협력과 주민 보상·지원 확대를 제도화하고, 전력망 구축의 신속성과 안정성을 동시에 확보할 계획이다.

산업부는 이번 준공을 계기로 당진 지역에서 추진 중인 345kV 당진화력-신송산, 북당진-신당진 송전선로 등 연계 사업에도 박차를 가할 방침이다. 또 최 차관은 충남도 및 지자체 관계자들에게 "반도체·디스플레이 등 전력다소비 산업을 뒷받침하기 위해 안정적 전력 인프라 구축이 중요하다"며 인허가 등 적극적인 협조를 요청했다.

북당진-신탕정 송전선로는 수용성과 적기 확충이라는 두 가지 난제를 안고 있던 상징적 사업이다. 정부는 이번 사례를 발판 삼아, 지역과 함께 만드는 전력계통 혁신 모델을 구축한다는 방침이다.
김민환 기자

ⓒ 아시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제보 후원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