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최악 산불이 남긴 과제…“시스템 개선 논의해야”

기사듣기 기사듣기중지

공유하기

닫기

  • 카카오톡

  • 페이스북

  • 트위터 엑스

URL 복사

https://ww2.asiatoday.co.kr/kn/view.php?key=20250330010016532

글자크기

닫기

임상혁 기자

승인 : 2025. 03. 30. 17:57

국토 면적 70% 산지에도 산불인력 '부족'
주관관청 산림청 → 소방청 의견도 제시
산불 특성상 소방 공무원 안전 위협 가능성
전문가 "각 역할 재고해 협응 체제 구축해야"
화마와 다투는 현장에서<YONHAP NO-5150>
119 소방대원이 지난 27일 오후 경남 산청군 시천면 동당리 한 산에서 산불을 진화 중 잠시 휴식을 취하고 있다. /연합뉴스
지리산 국립공원까지 침범할 뻔했던 경남 산청 산불의 주불이 30일 오후 1시 진화됐다. 역대 최악의 산불로 기록될 이번 산청·의성산불처럼 대형 산불을 막기 위한 대응시스템을 전반적으로 점검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다.

30일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에 따르면 전국 11곳에서 발생한 중·대형 산불이 모두 잡혔다. 산청과 의성에서 발발한 이번 산불은 전국의 산림과 거주지 등 4만8238여 ha를 재로 만들었다. 이는 서울 면적(6만520㏊)의 79.70%에 해당한다. 인명 피해도 75명(사망 30, 중상 9, 경상 36)에 달하는 최악의 참사였다.

동시다발적으로 발생한 이번 산불의 특징은 '대형화·장기화'다. 최근 건조한 날씨가 오래 지속된 영향도 있지만, 산불 진화 인력이 부족하다는 게 가장 큰 문제로 지적받고 있다. 우리나라는 국토 면적 70%가 산지인 만큼 산불이 번지기 쉬운 환경이지만 산림청 소속 공중진화대는 100여명, 산불재난특수진화대는 450여명으로 산지 규모에 비해 인원 수가 턱없이 모자라다. 이 외에도 산불전문예방진화대 1만여명이 있지만, 기간제·일용직 근로 형태로 운영되며 대부분 65세 이상 고령층이라 산불 진화에 효과적이지 않다.

인력이 부족한 산림청 대신 산불 주관 관청을 소방청으로 이관해야 한다는 의견도 제시된다. 다만 이 경우 소방관의 안전도 위협받을 수 있다. 일반 건축물 화재 대응과 대형 산불 대응 방법이 다르기 때문에 50년가량 산불을 다뤄온 산림청의 노하우를 단기간에 전수할 교육 프로그램을 만들 수 있냐는 것이다. 산림청은 1967년 산림국에서 '청'으로 승격될 때부터 산불 관련 업무를 맡아왔다.

함승희 서울시립대 소방방재학과 교수는 "소방청 인력이 당장 산불 현장에 투입됐을 때 안전을 보장받으면서 활동할 수 있는가를 보면 사실 그렇지 않다"며 "산지 지형을 잘 파악하지 못한 채 현장에 투입되면 소방공무원도 위험한 건 마찬가지"라고 말했다.

함 교수는 "현재 산불 현장에서 산림청과 소방청이 각각 지휘하고 있지만, 총괄 관리하는 컨트롤타워는 없다"며 "소방당국이 산불에 어떤 역할과 책임을 가져야 하는지, 산림청은 어떤 부분을 개선·보완할 것인지, 지자체는 어떤 역할을 해야 할 것인지 협응 체제를 구축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임상혁 기자

ⓒ 아시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제보 후원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