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자력·반도체 등 기술협력 차질 우려
"정치 불확실성 해소 尹복귀 절실한 때"
|
만약 이를 제때에 막지 못하면, 한미 협력은 물론이고 트럼프 2기 행정부에서의 주한미군 주둔비 협상과 한국의 독자핵무장 문제 등에서 큰 타격을 입을 것이라는 전망이다.
19일 정치권에 따르면, 미국의 민감국가 지정은 '일부 보안시설 접근에 대한 통제'가 아니라 당장 원자력 기술 협력과 방위산업은 물론, AI와 반도체 산업 등에서 차질을 빚을 수 있다. 이를 해결하려면 탄핵심판으로 직무정지가 됐을지라도, 윤 대통령이 트럼프 대통령과의 통화를 통해 이를 해결해야 한다는 것이다. 또 헌법재판소는 미국통인 한덕수 총리를 빨리 복귀시켜 해당 사안에 대한 대책을 세우고 협상에 들어가야 한다는 지적도 나오고 있다.
김성회 전 대통령비서실 시민사회수석실 종교다문화비서관은 이날 본지와 통화에서 "미국이 우리를 민감국가로 분류하려는 것은 윤 대통령 탄핵으로 민주당 세력에게 권력이 넘어갈 수 있는 상황을 지적한 것"이라며 "만약 이번 탄핵사태로 문재인 정권에 이어 제2의 반미·친중 종북 좌파 세력인 이재명과 민주당이 정권을 잡을 시 대한민국은 엄청난 재앙이 닥칠 수 있다"고 지적했다.
이어 김 전 비서관은 "그 결과는 상상 이상일 것이다. 당장 미국 유학이나, 미국입국 비자도 통제받을 것이고, 미국과의 각종 첨단 기술협력은 꿈도 꿀 수 없게 된다"며 "관세폭탄은 말할 것도 없고 그야말로 지금까지 피땀 흘려 일으켜 세운 경제는 물론, 대한민국이라는 나라가 송두리째 무너지는 사태가 벌어질 것"이라고 경고했다.
한 정보기관 관계자는 "중국의 간첩활동이 노골화되는 상황을 미국은 상당히 우려하고 있다"면서 "미국은 한국 내에서 벌어지는 권력 투쟁에서 중국을 배후로 하는 세력이 들어서는 것을 바라지 않는다. 그래서 한국이 미국과의 카운터파트너로서의 역할을 할 수 있는 자정능력을 발휘하길 바라고 있다"고 주장했다.
이는 미국이 한국 내 보수권력이 집권을 놓칠 경우 중국의 영향력이 상당히 높아질 것으로 보고 있으며, 한국 국민의 현명한 판단을 기다리고 있다는 의미로 해석된다.
한편 여권에서는 위기 속 대한민국 외교를 살리려면 미국통인 한덕수 총리의 탄핵심판이 속히 이뤄져야 한다는 주장도 나오고 있다. 원희룡 전 국토교통부 장관은 "한 국무총리 탄핵심판은 단 1시간 반의 결론으로 끝났다"면서 한 총리의 조속한 복귀를 촉구했다. 이 외에도 한 총리의 직무가 조속히 복귀돼야 민감국가 지정을 해제할 수 있는 협상력을 높일 수 있으며, 이는 한미 관계의 발전과 동맹국가 간의 협력을 지속할 수 있는 기본적인 틀을 지키는 길이라는 주장도 나오고 있다.
아울러 반미·친중 종북좌파 세력의 정권 찬탈을 막기 위해서라도 윤 대통령의 복귀는 당연한 것이며, 그래야만이 대한민국의 미래를 보장할 수 있다는 것이 여권의 시각이다. 홍준표 대구시장은 전날(18일) 자신의 페이스북에서 "미국이 한국을 민감국가로 분류하는 가장 큰 이유는 정치적 불확실성에 기인하는 것"이라면서 "민주당이 추구하는 친중반미가 더 크게 미국을 자극하고 있다"고 지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