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KT&G는 14일 입장문을 통해 "출석 주주 과반 이상의 찬성을 통한 대표이사 선임이 정관 취지에 부합하고 주주 의사를 가장 정확히 반영할 수 있는 방식"이라고 설명했다.
기존의 통합집중투표 방식이 50% 이상 찬성을 얻지 못한 후보가 선임될 가능성이 있어 주주 의사를 제대로 반영하지 못하고 경영 안정성을 해칠 수 있다는 지적이다.
그러면서 "이번 정관 변경은 국내외 기관투자자와 주요 주주들의 우려를 반영한 것으로, 1주 1의결권 원칙에 따라 전체 주주의 의사를 정확히 반영하고자 정관 개정을 추진하게 됐다"고 설명했다.
KT&G는 "대부분 국내 기업들은 이사회에서 대표이사를 선출하는 반면, KT&G는 최고경영진에 대한 주주의 견제 기능을 보다 강화하고자 주총에서 대표이사를 선임해 다수 유력 거버넌스 평가기관들로부터 지배구조 측면에서 국내 최고수준의 평가를 받고 있다"며 "앞으로도 KT&G는 주주가치 제고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