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1∼2월 中 수출 예상 대폭 하회 충격

기사듣기 기사듣기중지

공유하기

닫기

  • 카카오톡

  • 페이스북

  • 트위터 엑스

URL 복사

https://ww2.asiatoday.co.kr/kn/view.php?key=20250307010003312

글자크기

닫기

홍순도 베이징 특파원

승인 : 2025. 03. 07. 18:29

美와 무역전쟁으로 2.3% 증가
美 관세 피해 영향 곧 본격화
수입은 예상보다 큰 폭 8.4% 감소
아시아투데이 홍순도 베이징 특파원 = 중국의 올해 1∼2월 수출이 미국이 촉발시킨 미중 간 관세 및 무역전쟁의 영향으로 예상치를 크게 밑돈 것으로 추산됐다. 앞으로 더욱 실적이 나빠질 가능성도 없지 않아 보인다.

clip20250307182826
해외로 수출될 자동차들이 선적돼 있는 상하이(上海)의 한 항구. 미국의 관세 추가 부과 조치로 수출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메이르징지신원.
메이르징지신원(每日經濟新聞)을 비롯한 매체들이 자국 해관총서(관세청)의 발표를 인용해 7일 보도한 바에 따르면 중국의 올해 첫 두 달간 수출은 전년 동기 대비 2.3%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금액으로는 5399억4000만 달러(780조 원)였다. 이는 지난해 12월의 10.7% 증가에서 대거 급감한 것이다. 지난해 같은 기간 7.1% 증가와 비교해도 많이 밑돌았다. 또 중국 내외 경제 전문가들이 예상한 5∼6% 증가 전망에도 상당히 못 미치는 기록이라고 할 수 있다.

중국의 수출은 경제 성장의 약 3분의 1을 책임지는 것으로 분석되고 있다. 그러나 올해 들어 미중 간 관세 및 무역전쟁이 본격화하면서 갑자기 동력을 잃는 악재에 직면하게 됐다. 이 상태가 이어질 경우 지난 5일 개막한 제14기 전국인민대표대회(전인대·국회) 3차 회의에서 설정한 5% 안팎의 경제 성장 목표를 달성하는 것도 꽤 어려울 가능성이 높다고 해야 한다.

이외에 1∼2월 수입은 전년 동기 대비 8.4% 감소한 3694억3000만 달러로 집계됐다. 이는 2023년 7월 이후 최대 하락 폭으로 1% 증가할 것이라는 소식통들의 전망을 크게 밑돌았다. 이와 관련, 베이징의 경제 평론가 쩌우페이란(鄒佩嵐) 씨는 "GDP(국내총생산)의 4분의 1을 책임지는 부동산 관련 산업과 시장의 회복이 느렸다. 자연스럽게 정부의 인프라 지원이 제한될 수밖에 없었다. 여기에 값비싼 외국 제품이 중국산으로 대체되면서 수입 물량이 감소했다"면서 향후 상황이 갑작스럽게 좋아지기는 어려울 것이라고 분석했다.

이에 따라 중국의 1∼2월 총 무역 흑자는 1705억 달러로 집계됐다. 작년 같은 기간에는 1251억 달러였다. 수입이 대폭 줄어든 탓에 전체 무역 수지가 개선됐다.

수출과 수입입을 지역 및 국가별로 보면 대아세안 및 대미 수출입은 증가했다. 그러나 대유럽연합(EU), 대한국 수출입은 감소했다. 대한국 수출과 수입의 경우는 각각 2.6%, 0.1% 줄었다. 중국의 대러시아 수출과 수입 역시 각각 10.9%와 3.9%로 급감했다. 양국의 관계가 거의 혈맹 수준이라는 사실을 상기할 경우 예상 밖으로 줄었다고 할 수 있다.

홍순도 베이징 특파원

ⓒ 아시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제보 후원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