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아시아투데이 로고
[CEO 체크] 권오갑 현대重 회장, ‘거센 반발’ 딛고 대우조선 인수하나

[CEO 체크] 권오갑 현대重 회장, ‘거센 반발’ 딛고 대우조선 인수하나

기사승인 2021. 05. 24. 06:00
  • 페이스북 공유하기
  • 트위터 공유하기
  • 카카오톡 링크
  • 주소복사
  • 기사듣기실행 기사듣기중지
  • 글자사이즈
  • 기사프린트
대우조선 인수, 권 회장 마지막 숙제
노조·시민사회 반발…청와대 의견서
"대규모 혈세 투입…재벌에 헐값 매각"
"부산·거제 등 지역사회 큰 타격 우려"
현대重 측 "합병 아냐…독립경영될 것"
Print
Print
권오갑 현대중공업지주 회장이 남은 임기 중 최대 과제 중 하나로 꼽히는 대우조선해양 인수 과업을 성공적으로 이뤄낼 수 있을지에 업계의 관심이 모이고 있다. 권 회장이 1978년 현대중공업에 몸담은 이후 43년이 흘렀음에도, 지난 3월 2년간의 새 임기를 부여받은 배경에는 대우조선 인수에 대한 기대감이 자리하고 있다. 하지만 대우조선 인수는 유럽연합(EU)을 비롯한 이해가 얽힌 각국의 기업결합 심사가 3년째 지지부진한 상황이며, 최근까지 노동조합과 지역사회 등의 거센 비판이 이어지면서 과업 완수 여부에 물음표가 달리고 있다.

23일 업계에 따르면 대우조선노조와 참여연대·민변 민생경제위원회는 지난 20일 현대중공업과 대우조선의 기업결합을 반대하는 의견서를 청와대에 각각 제출했다. 노조는 해당 의견서에서 “현대중공업 재벌이 대규모 혈세가 들어간 대우조선해양의 경영권을 헐값에 가져가게 됐다”고 주장했다.

앞서 산업은행은 2019년 1월 31일 대우조선의 매각 및 민영화 계획을 발표하고 같은 해 3월 8일 현대중공업과 매각 본계약을 체결했다. 매각은 산은이 보유한 대우조선해양 지분 55.7%를 현대중공업의 중간지주사 한국조선해양에 현물 출자하는 방식으로, 산은은 현물 출자의 대가로 한국조선해양이 유상증자로 발행한 상환전환우선주(약 1조2500억원)와 보통주(약 8500억원)를 확보하게 된다. 이때 현대중공업은 한국조선해양의 유상증자에 33%(약 4000억원)의 지분율로 참여해 지배주주 지위를 유지한다. 이를 요약하면 산은과 현대중공업 간의 주식 교환인 셈이다.

이를 두고 노조는 “명백한 재벌특혜”라며 “7조원이 넘는 공적자금이 투입된, 시가총액 3조원 이상의 회사를 시총의 10%를 조금 상회하는 금액으로 사들인다는 의미”라고 꼬집었다. 대우조선의 경영 정상화를 위해 산은과 한국수출입은행은 7조1000억원의 공적자금을 투입했으며, 대우조선의 영구채 매입, 유상증자 등까지 포함하면 소요된 국자 자원은 12조원 규모다. 그런데 현대중공업이 지출하는 금액은 1조원에 못 미치고, 산은이 확보하게 되는 몫은 상환전환우선주와 보통주를 합해도 약 2조1000억원에 불과하다.

또한 노조는 “일자리 창출을 외쳤던 중앙정부와 지방정부의 정책에 정면으로 위배되는 매각 방식”이라며 “민영화를 통해 국가자산을 현대중공업 재벌에 바치고, 대규모 구조조정을 자행하는 잘못된 정책을 추진하고 있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대우조선의 조선기자재 업체의 대부분은 중소기업을 중심으로 구성돼 있으며 부산·거제 등 지역에 1200여 개, 7만명이 넘는 노동자가 생계를 유지하고 있다. 반면 자회사 비중이 80%가 넘는 것으로 알려진 현대중공업에 의해 대우조선이 인수될 경우 지역 기자재 산업이 몰락할 것이란 우려가 나온다.

이에 변광용 거제시장은 산은의 매각을 반대하며 “매각절차 중단과 원점 재검토”를 촉구한 바 있다. 변 시장은 “산은의 대우조선 매각 강행이 무엇을 위한 것인지 근본적으로 되묻지 않을 수 없다”며 “EU 기업결합심사 과정 중에 불거진 LNG선 시장점유율 제한을 비롯해 사업축소, 기술력 해외 이전 등을 통한 조선부 승인까지 불사하겠다는 산업은행의 입장은 2년 전 이동걸 산은 회장이 내세운 조선산업의 구조개편을 통한 산업 경쟁력 강화와도 전혀 맞지 않다”고 말했다.

하지만 현대중공업 측은 오히려 조선산업 경쟁력 강화를 위해 인수를 결정했다는 입장이다. 현대중공업 관계자는 “세계 각국이 규모의 경제를 통해 세를 키우고 있기 때문에 한국 조선산업 경쟁력 강화를 위해 규모의 경제가 필요한 상황”이라며 인수 배경을 설명했다. 이어 헐값 논란과 관련해선 “공적자금이 많이 들어간 회사를 그대로 둘 경우 얼마나 더 많은 공적자금이 들어갈지 모르는 상황에서 인수를 결정한 것”이라고 했으며, 구조조정 및 독점화 우려에 대해서는 “인수합병을 하는 것이 아니라 한국조선해양 아래 독립경영으로 운영될 것이기 때문에 우려할 사항은 아니다”고 밝혔다.
후원하기 기사제보

ⓒ아시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