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인뱅 3사 | 0 | /각 사 |
|
지난달 인터넷전문은행 3사(카카오뱅크·케이뱅크·토스뱅크)의 신용대출 연체율이 1.20%를 기록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1년 만에 약 2배 이상 뛴 수준인 데다 출범 이후 최대치다.
18일 인터넷전문은행 3사가 국회 기획재정위원회 소속 양경숙 더불어민주당 의원에게 제출한 자료에 따르면, 지난달 말 기준 3사의 신용대출 연체율 평균은 1.20%를 기록했다.
3사의 신용대출 연체율은 지난 2021년 0.32%에서 지난해 6월 말 0.42%, 지난해 12월 말 0.77%, 올해 6월 말 1.04%, 올해 8월 말 1.20% 등으로 지속 상승했다. 은행별로는 지난달 말 기준으로 토스뱅크(1.58%)가 가장 높았다. 케이뱅크는 1.57%, 카카오뱅크는 0.77%다.
중·저신용대출만 떼어 보면 연체율 증가세는 더 가파르다. 지난달 말 기준 3사의 중·저신용대출 연체율은 2.79%다.
2021년 말부터 지난해 상반기까지 0.8%대를 보였지만 지난해 말 1.71%, 올해 6월 말 2.46%를 기록했다. 은행별로는 지난달 말 기준 케이뱅크 4.13%, 토스뱅크 3.40%, 카카오뱅크 1.68% 순이다.
3사의 연체율이 급증하는 이유로는 한국은행의 기준금리 인상 여파 등이 꼽힌다. 한은은 지난 2021년 8월부터 올해 1월까지 기준금리를 10차례에 걸쳐 인상했다. 이 기간 연 0.50%였던 기준금리는 연 3.50%까지 높아졌다.
게다가 인터넷전문은행은 중·저신용대출 비중을 높여야 해 고금리 시기 건전성 관리가 쉽지 않다. 인터넷은행의 올해 8월 말 기준 중·저신용자 대상 신용대출 비중(잔액 기준)은 카카오뱅크 28.4%, 케이뱅크 25.4%, 토스뱅크 35.6%였다. 3사 모두 연말 목표치(30%, 32%, 44%)에 미달해 남은 기간 중·저신용대출 비중을 더 끌어올려야 한다.
금융감독원은 인터넷전문은행 등이 손실흡수 능력을 더 갖출 수 있도록 대손충당금 적립을 유도할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