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재명 대통령실 부대변인은 이날 오전 MBC라디오 인터뷰에서 '전날 대통령이 사실과 다른 보도로 한미동맹을 훼손한다는 취지로 언급했다. 이 발언은 어떻게 된 것이냐'는 진행자의 물음에 "음성 분석 전문가도 특정할 수 없는 단어를 일부 언론에서 특정했다"며 이같이 말했다.
이 부대변인은 "특정한 문장은 누가 보더라도 동맹관계를 훼손하고, 동맹을 조롱하는 듯한 문장을 만들어 냈다"며 "급속도로 외신을 통해 퍼져나갔고, 일부 언론에서는 확정되지 않은 단어에 대한 미국 측 입장을 물어봤다"고 지적했다.
이어 "어제 대통령이 말했듯, 전 세계에서 동맹 없이 자국의 안전을 지킬 수 있는 나라는 몇 없다"며 "동맹 복원이 현 정부의 숙제다. 특정 단어에 의해 국민들을 오해하게 만들고 국제사회에서 오해를 만든 건 동맹 훼손"이라고 주장했다.
이 부대변인은 "100% 확정할 수 없는 내용을, '바이든'이라는 대통령이 전혀 하지 않은 발언이 보도됐다"며 "'바이든'은 아닌 게 분명하다. 저희가 '바이든'이 아님을 확인하기 위한 여러 과정을 거쳤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반대로 얘기해 언론도 그 단어가 어떤 단어인지를 확정해가는 과정이 있었다면 문제가 없었다"며 "그런데 그런 과정 없이 저희에 확인도 없이 대통령의 발언이 기정사실화돼 자막화되고 그것이 무한 반복됐다. 이것이 문제라는 것"이라고 지적했다.
이 부대변인은 "대통령이 1억불을 공조하겠다는 말을 했다. 그런데 일본이 10억불 이상, 미국이 60억불 이상 공여 약속을 한다"며 "따라서 보다 더 책임 있는 자세를 가져야 하는 것이 우리 대한민국의 국제사회의 위치인데, 그렇지 않을 경우 어떡하나 이런 걱정을 했다는 것이 명백한 취지"라고 강조했다.
아울러 이 부대변인은 대통령의 발언이 대통령실의 확인 절차를 거치지 않고 보도된 점도 강하게 지적했다. 그는 "기본적으로 대통령의 발언이라는 것은 확인되기 전까지 정확하게 검증되기 전까지 나갈 수 없다"며 "엠바고라는 보도유예를 갖고 취재기자가 취재해오면 그것이 맞는지 확인하는 작업을 당연히 거쳐야 한다"고 말했다.
이 부대변인은 이것이 '사전검열'과 같은 개념은 아니라며, "(순방) 취재라는 것은 기자단을 대표해 이뤄지는 것이다. 흔히 풀취재(공동취재)라고 표현한다"며 "가장 중요한 것은 정확성이다. A기자가 잘못 들은 것을 전체 기자들에게 전달하면 안 되는 것이다. 그런 점에서 취재가 정확성을 갖느냐. 녹음이나 녹취 내용을 갖고 확인하는 작업을 하는 것은 너무나 당연하다. 모든 정부가 그렇게 해왔다"고 강조했다.
이 부대변인은 "저희가 심각성을 갖고 있는 것은 비속어 논란이 아니다"라며 "대통령이 하지도 않은 발언을, 국익을 위해 대통령이 할 수 있는 모든 것을 하는 자리에서 우리의 최우방 동맹국을 폄훼하는 듯한 발언을 했다고 기정사실화되는 것이 문제의 본질"이라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그는 "누구도 특정할 수 없는 것을 이른 시간에 특정화해 자막화하고, 그것을 반복재생하고, 그것을 기정사실화해 미국 측에 의견을 물어봤다"며 "이것이 과연 저널리즘의, 어떤 사실 확인을 위한 노력인지, 중립성과 객관성을 담보하기 위한 노력인지 생각되지 않는다. 그런 점에서 저희가 문제제기를 한 것"이라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