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다주택자라는 비난을 피하기 위해 서울 강남권에 부동산을 계속 보유하면서 자신은 타 지역에 전세로 들어 사는 '똘똘한 한 채' 전략을 택한 경우도 적지 않다. 이재명 정부가 '실수요자 중심 1가구 1주택' 중심 정책을 강조하고 있지만, 정치권은 여전히 '내로남불' 태도를 보인다는 지적이 제기된다.
경제정의실천시민연합(경실련)은 4일 서울 종로구 경실련 강당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22대 국회의원 부동산재산 분석 결과'를 발표했다. 조사 결과, 국회의원 299명 가운데 유주택자는 234명이었으며, 다주택자는 모두 61명(20.4%)으로 집계됐다. 더불어민주당은 25명으로 같은 당 소속 의원의 15.2%, 국민의힘은 35명으로 32.7%가 다주택자였다.
보유 주택을 실거주가 아닌 임대를 준 의원은 95명(32%)으로, 다주택자 의원수보다 많았다. 이는 통상적으로 다주택자라는 비난을 피하면서 '노른자' 부동산을 계속 보유해 시세 차익을 기대하기 위한 전략으로 쓰인다. 실제로 강남 4구에 주택을 보유한 의원은 61명이었는데, 이 중 이를 임대한 의원이 17명에 달한다. 최근 김병기 더불어민주당 원내대표가 서울 송파구 집을 전세로 내주고, 지역구인 서울 동작구에 전세로 살고 있다는 사실이 알려지며 도마 위에 오르기도 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