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연합 |
삼성전자는 14일 3분기 영업이익이 전년 동기 대비 31.8% 증가한 12조1000억원으로 잠정 집계됐다고 공시했다. 2022년 2분기 14조1000억원 이후 3년여 만에 최대치다. 3분기 매출액은 전년 동기 대비 8.7% 증가한 86조원으로 분기기준 사상 최고치를 경신했다. 3분기 잠정실적은 시장 전망치를 크게 뛰어넘는 '어닝 서프라이즈'여서 의미가 크다. 삼성전자의 3분기 실적 컨센서스(증권사 전망치 평균)는 매출액 84조1208억원, 영업이익 10조1427억원이었다. 실적 반등의 일등공신은 당연히 반도체였다.
삼성전자의 반도체사업을 담당하는 디바이스솔루션(DS) 부문은 3분기 약 6조원대의 영업이익을 거둔 것으로 증권업계는 추정했다. 세계 AI 데이터센터 수요 증가로 고대역폭메모리(HBM) 출하량이 전분기 대비 2배가량 급증한 것이 실적개선에 기여했다. 범용 D램과 낸드플래시 국제가격이 평균 10% 상승했고, 원·달러 환율이 오른 것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2분기 2조원대에 달했던 파운드리 사업 적자 규모를 3분기 1조원 이하로 줄인 것 역시 긍정적이다.
내년 전망은 더 밝다. 최근 1개월 내 보고서를 낸 증권사 18곳의 컨센서스를 보면 내년 삼성전자의 영업이익은 53조원으로 예상됐다. 흥국증권(61조7000억원) 등 일부 증권사는 사상 첫 영업이익 60조원을 돌파할 것이라는 전망까지 내놓으며 '10만 전자' 기대감을 높였다.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가 최근 미국 오픈AI에 수십조 원 규모의 고능성 메모리 반도체를 공급하기로 합의했기에 무리한 목표만은 아닐 것이다.
모처럼 찾아온 호기를 놓치지 않으려면 여야가 'K칩스법(반도체 투자 세제지원 확대)'을 뛰어넘는 반도체특별법부터 신속히 통과시켜야 한다. 민주당은 오는 26일 열리는 국회 본회의에 패스트트랙(신속처리안건)으로 지정됐지만 여야 간 쟁점이 있는 반도체특별법·가맹사업법·은행법 등은 상정하지 않기로 했다. 반도체특별법 가운데 주 52시간제 예외적용은 민주당 반대 탓에 합의가 늦어지는 만큼 보조금 지급 등만 먼저 통과시키는 대안도 검토할 필요가 있다. 자동차와 더불어 대미(對美) 수출의 쌍두마차격인 반도체가 미국의 고율 품목관세 부과 탓에 타격을 받지 않도록 후속 관세협상에서 최혜국 대우를 명문화하는 것도 서둘러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