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찰 8만 명 배치…충돌 대비
"새 정부 정치적 입지 가늠 분수령"
|
로이터통신에 따르면 노동조합들은 공동 성명을 내고 "공공서비스 예산을 확대하고, 부유층 과세를 강화하며, 연금제도 개편안을 철회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들은 전임 정부가 추진한 재정정책을 "가혹하고 불공정하다"고 비판했다.
에마뉘엘 마크롱 대통령이 최근 임명한 세바스티앵 르코르뉘 총리는 집권 초반부터 정치적 위기를 맞았다. 로이터통신은 지난해 프랑스의 재정적자는 EU 기준치(3%)의 두 배에 가까운 수준을 기록했다며, 새 총리는 재정 건전성 확보와 정치적 합의 사이에서 어려운 선택을 요구받고 있다고 전했다.
앞서 의회는 440억 유로 규모의 긴축안을 추진했던 프랑수아 바이루 총리를 불신임하며 해임했다. 르코르뉘 총리는 전임자의 긴축안에 대해 뚜렷한 견해를 밝히지는 않았으나, "타협 가능성"을 열어두었다. 이에 대해 소피 비네 프랑스 노동총동맹(CGT) 사무총장은 "적절한 대응이 없으면 계속해서 행동에 나설 것"이라며 "예산은 거리에서 결정될 것"이라고 으름장을 놨다.
파업에는 전국 초등학교 교사의 3분의 1이 참여할 것으로 예상된다. 또 파리 지하철과 지방 철도 운행에도 상당한 차질이 불가피할 전망이다. 다만 고속열차(TGV)는 대부분 정상 운행될 예정이다.
농민단체 '콩페데라시옹 파이장'과 약사단체도 파업에 합류한다. 약사노조(USPO)가 실시한 조사에서는 전국 약국의 98%가 이날 문을 닫을 수 있다는 결과가 나왔다.
브뤼노 르타이오 내무장관은 질서 유지를 위해 경찰과 헌병 8만 명을 배치한다고 밝혔다. 현장에는 기동대와 드론은 물론 장갑차도 투입해, 극렬 시위대의 폭력 시도나 주요 시설 봉쇄 가능성에 대비한다.
내무부는 시위 참가 규모를 최대 80만 명으로 추산했다. 전문가들은 이번 사태가 단순한 노동 쟁의를 넘어 마크롱 정부의 재정정책 방향과 정치적 입지를 가늠하는 분수령이 될 수 있다고 보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