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그룹 전반 AI 확장
美·中에 집중된 AI 시장…韓 기업 돌파구 마련
|
16일 SK텔레콤은 오픈AI와 전략적 파트너십을 체결하고 챗GPT 서비스를 중심으로 글로벌 AI 확산을 본격화한다고 밝혔다. 양사는 2023년 글로벌 AI 해커톤 공동 개최, 올해 2월 MIT가 주도하는 'GenAI Impact Consortium' 창립 멤버 참여 등으로 긴밀한 협력 관계를 쌓아왔다.
SK텔레콤과 오픈AI의 첫 협력 프로젝트는 '챗GPT 플러스' 프로모션이다. 9월 19일부터 내년 2월까지 신규 가입자와 3개월 이상 미사용 고객을 대상으로, 1개월 유료 결제 시 추가 2개월을 무료 제공한다.
SK텔레콤 고객은 'T우주' 플랫폼을 통해 쿠폰을 발급받아 챗GTP 플러스에 가입할 수 있다. 챗GPT 플러스는 무료 버전 대비 더 빠른 응답 속도와 최신 기능에 대한 우선 접근권을 제공하며 '심층 리서치' 기능을 제공한다.
SK텔레콤은 이번 협력을 시작으로 오픈AI와 추가 협력을 논의할 계획이다. B2C, B2B 분야를 비롯해 SK그룹 차원의 협력 확장도 다방면으로 모색한다. 이에 따라 국내 고객의 글로벌 수준 AI 서비스에 대한 접근성을 확대하고, AI 경쟁력을 높이는 데 기여한다는 목표다.
이번 협력은 SK텔레콤이 추진 중인 AI 전략 '자강(自强)과 협력(協力)'의 대표 사례로 꼽힌다. SK텔레콤은 AWS(아마존웹서비스), 앤트로픽(Anthropic), 퍼플렉시티(Perplexity) 등 글로벌 AI 빅테크와 협력하며 국내외 AI 밸류체인을 강화하고 있다.
또한 SK텔레콤은 최고 성능의 소버린 GPUaaS 클러스터 '해인', 국내 비수도권 최대 규모 AI 전용 데이터센터인 'SK AI 데이터센터 울산' 등을 구축하며 국가 AI 인프라 확장에도 힘을 쏟고 있다. 특히 울산 AI 데이터센터 프로젝트에는 SK텔레콤을 비롯해 SK브로드밴드, SK하이닉스 등 주요 ICT·에너지 계열사가 대거 참여해 그룹 역량을 결집했다.
SK텔레콤과 오픈AI의 제휴는 국내 대기업들이 글로벌 AI 빅테크와 동맹을 확대하는 흐름 속에서 나온 성과다. 삼성전자는 구글과 협력해 '갤럭시 AI'에 '제미나이(Gemini)'를 탑재하며 스마트폰·가전 전반의 AI 기능을 강화하고 있고, LG전자는 메타와 마이크로소프트(MS) 등과 AI 홈·클라우드 서비스 협력을 확장하고 있다. 네이버와 카카오는 자체 LLM을 개발하며 글로벌 기업과의 전략적 제휴를 확대 중이다. 업계 관계자는 "글로벌 AI 시장이 미국과 중국 중심으로 과도하게 집중된 만큼 한국 기업들은 단독으로 글로벌 AI 선도 기술을 개발하기 어려운 게 현실"이라며 "빅테크와의 협력은 기술 격차를 좁히고 혁신 속도를 높이는 교두보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