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멸시효 연장 자제·자체 채무조정·근로자 햇살론 확대 등 강조
|
이 원장은 16일 서울 중구에 소재한 여신금융협회에서 '여전사 CEO 간담회'를 개최해 여전사의 지속가능한 발전 방향과 여전업계의 건의사항에 대해 의견을 나눴다.
이번 간담회에선 이 원장과 한구 금감원 중소금융부문 부원장보, 여신금융협회장, 14개 주요 여전사 CEO 등이 참석했다.
이 원장은 간담회 시작 전 모두발언에서 "최고경영진이 장기적인 시각에서 금융소비자의 정보 보호를 직접 챙겨달라"며 "소비친화적 업무패러다임으로 전환해 소외계층을 배려하는 따뜻한 금융을 실천해달라"고 강조했다.
그가 카드업권에 주문한 건 제로톨러런스(Zero-Tolerance) 원칙에 따라 CEO가 직접 나서 달라는 요구다. CEO가 관련 법령에서 요구되는 보안대책의 수립과 시행에 나서달라는 것이다. 이는 최근 금융권 전반에서 발생한 사이버 침해사고를 염두에 둔 발언이라는 분석이다.
아울러 소외계층에 대한 금융지원 강화를 위해 소멸시효 연장 자제, 고령층 카드포인트 사용 활성화, 자체 채무조정, 근로자 햇살론 확대 등의 소비자 친화적 업무 패러다임으로 전환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어 이 원장은 "금융사고 예방을 위한 내부통제 강화와 부실채권 정리 등 건전성 관리에도 관심을 가져달라"며 "신기술사업자에 대한 모험자본 공급을 확대하고 경영환경 변화에 대응한 혁신을 지속해 주길 바란다"고 덧붙였다.
경영진이 먼저 앞장서 내부통제 조직문화를 조성하고 책무구조도를 충실히 준비하면서, 미래성장 동력 발굴을 위해 기술 기반 성장단계 기업에 대한 모험자업 공급 확대를 해달라는 취지의 주문이다.
아울러 이 원장은 리스크 관리 과정에서 중·저신용자의 자금조달이 과도하게 위축되지 않도록 세심한 관리를 해달라고 당부했다. 부실 PF(프로젝트 파이낸싱) 사업장에 대해선 자체 관리계획을 차질없이 이행하고, 충분한 충당금을 적립하는 등 선제 대응도 요청했다.
여전사 CEO들은 취약차주 등 금융소비자 보호와 중소벤처 기업에 대한 자금공급 역할 제고 필요성에 공감하면서, 부동산 PF 정상화와 가계부채 관리, 지급결제업무 혁신 등을 위해 더욱 노력할 것이라고 입을 모았다.
그러면서 이들은 결제시장 경쟁 심화, 경기 둔화 등에 따른 수익성 저하 등의 경영상 애로사항을 언급하면서, 취약차주에 대한 지원 확대와 여전사의 사업영역 확장을 위해 금융당국의 정책적·제도적 지원을 요청했다.
이에 대해 이 원장은 "여전사의 안전성에 대한 신뢰는 업권의 존립에 가장 중요한 요소"라며 "향후 감독·검사 업무에서 업권의 건의사항을 적극 반영하고 불필요한 규제를 개선하는 등 제도적 지원을 해나갈 것"이라고 답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