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여기에 건설경기 침체 장기화에 대응하기 위한 예산도 대폭 늘었다. 철도, 도로, 공항 등 교통 인프라 확충에 8조원 이상을 투입한다. 서민 주거 안정을 위해 취약계층을 중점 대상으로 공공주택 19만여가구를 공급한다는 방침이다.
정부가 29일 확정한 2026년도 예산안에 따르면 내년 국토부 소관 예산은 △국토교통 안전 △주거 △교통 관련 민생 안정 △균형발전 등을 지원하기 위해 역대 최대 규모인 62조4000억원으로 편성했다.
예산안은 항공, 철도 등 교통 인프라 관련 안전사고 예방과 노후시설 보강에 중점을 뒀다. 우선 △활주로 이탈방지 장치 △조류 탐지 △김포국제공항 관제탑 신축 등 공항시설 안전 강화 예산이 지난해 224억원에서 올해 1204억원으로 대폭 늘었다.
철도 안전 개선에도 약 2조9000억원을 배정했다. 수도권 광역철도 내 인공지능(AI) 폐쇄회로(CC)TV를 400대에서 850대로 확충하고, 청도 사고와 같은 일이 재발하지 않도록 철도 유지보수 구간 교량, 옹벽 등에 작업자 안전사고 방지 설비를 설치하는 등의 사업을 하기 위해서다.
대형 땅꺼짐 이른바 '싱크홀' 선제 예방을 위한 지반탐사장비 확충, 지방자치단체 지반탐사 지원 등 지하 안전 관련 예산도 지난해 15억원에서 올해 144억원으로 늘렸다.
주요 간선 교통망 확충에 8조5000억원을 투입해 건설경기 회복도 촉진한다. 수도권광역급행철도(GTX) 구축 예산이 4351억원 배정된 것을 비롯해, 제천-영월고속도로 건설에 410억원이 신규 투입되는 등 철도·도로망 구축으로 건설경기 활성화를 지원한다.
현대건설의 사업 포기에 따른 가덕도 신공항 건설 예산은 올해 1조원에서 3000억원가량 줄어든 7000억원이 배정됐다. 반대로 새만금신공항은 632억원에서 1200억원으로 예산이 늘었다.
지방 건설경기 지원을 위해 지방 미분양 주택 5000가구 매입에도 예산 5000억원이 투입된다.
서민 주거 안정책으로는 공적주택 19만4000가구 공급에 22조8000억원을 편성했다. 이는 △청년 △신혼부부 △고령자 등 취약계층이 주요 대상으로, 2030년까지 110만가구 공급이 목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