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관세도, 무역장벽도 없는 관광은 '훌륭한' 수출산업이 될 수 있다. 한국은행에 따르면 2024년 한해 관광수입은 약 160억 달러(약 22조원)에 달한다. 이는 중형 승용차 66만대를 수출한 것과 맞멎는 효과란다. 인프라 개선, 지역경제와 고용의 활성화 등 부가 효과까지 더하면 관광산업의 규모는 더욱 커진다.
이런 이유로 관광은 새 정부가 들어설 때마다 국가산업의 새로운 성장동력으로 관심을 받았다. 2017년부터 매년 국무총리가 주재하는 국가관광전략회의가 열리고 있다. 이에 앞서 이명박 정부에선 관광산업 활성화와 국가브랜드 제고를 위해 당시 청와대 교육문화수석실 아래 별도로 관광진흥비서관을 신설하기도 했다. 윤석열 정부는 2027년까지 외래관광객 3000만명 유치를 목표로 다양한 정책을 쏟아내는 등 관광의 산업적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해 노력했다.
그러나 새 정부 초기마다 '반짝' 주목 받았던 관광은, 시간이 흐를수록, 슬그머니 관심 밖으로 밀려나는 듯 보였다. 현장에서는 '관광'이 여전히 '문화'의 부속으로 여겨지고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실제로 관광진흥비서관은 지금은 없다. 국가관광전략회의가 개최 되고 있지만 그동안의 정책을 재탕, 삼탕 우리기만 한다는 지적을 받고있다.
관광의 효과를 제대로 기대하려면 정부가 관광을 개인의 취미나 여가로 보지말고 산업으로 인식해야 한다는 전제가 필요하다. 관광이 산업으로 자리매김하지 못하면 이에 따른 정책은 파편적으로 흐르고 효과 역시 단기적 이벤트성에 그칠 수 밖에 없다.
'판'을 새로 짜야 한다. 첫 단추를 잘 끼워야 한다. 컨트롤타워를 재정비해 관광정책의 큰 그림을 기초부다 다시 그릴 필요가 있다. 대통령이 정점에서 관광을 챙겨야 한다는 얘기다. 관광진흥비서관을 부활하고 국가관광전략회의를 대통령 주제로 격상할 필요가 있다. 문화체육관광부 내에서 관광 업무에 대한 위상도 높여야 한다. 장미란 문화체육관광부 제2차관이 취임 직후 관광기자들과 가진 간담회에서 '문체부 차관'이 아니라 '문화체육관광부 차관'이라고 자신을 소개하겠다고 강조한 일이 기억난다. '문체부'라고 하면 관광이 빠진다는 이유였다. 그만큼 관광을 챙기겠다는 표현이었을 텐데 이같은 의지를 다질 때가 또 지금이다.
이재명 대통령은 얼마 전 문화계 인사들을 만난 자리에서 "문화는 국민의 삶의 질을 높일 뿐 아니라 국가의 브랜드와 영향력을 키우는 자산"이라고 강조했다. 음악, 영화, OTT(온라인 동영상 서비스)에서 시작된 K-콘텐츠의 인기는 문학, 뮤지컬, 클래식, 애니메이션 등으로 이어지고 있다. 기회다. K-콘텐츠의 수요를 관광으로 제대로 연결시킨다면 국가 브랜드와 영향력은 더욱 빠르게 높아지고 커질 것이다. 이를 잘 수행하기 위해서라도 관광정책의 컨트롤타워 정비는 필요하다. 이제 관광이 제대로 '대접' 받아야 할 때도 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