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문형배 ‘SNS 거짓말’ 의혹에… 흔들리는 헌재 신뢰

기사듣기 기사듣기중지

공유하기

닫기

  • 카카오톡

  • 페이스북

  • 트위터 엑스

URL 복사

https://ww2.asiatoday.co.kr/kn/view.php?key=20250207010003460

글자크기

닫기

한대의 기자

승인 : 2025. 02. 06. 19:53

14년전 '유엔군 무력통일' 블로그 논란에
최근 '그들=북한' 게시글 수정하며 반박
일각선 "원문 고쳐 정치 편향 증거 인멸"
곽종근 전 특전사령관, 윤 대통령 탄핵 심판 청구인측 질문 답변
곽종근 전 육군 특수전사령관이 6일 헌법재판소에서 열린 윤석열 대통령 탄핵심판 6차 변론기일 증인신문에 출석해 국회 측 탄핵소추인단의 질문에 답하고 있다. 곽 전 사령관은 이날 증인신문 초반에는 윤 대통령이 끌어내라 한 건 국회의원 맞다고 주장했다가, 재판관의 질의에는 "(국회의사당) 안에 있는 '인원'을 끄집어내라고 했다"고 진술을 바꿔 논란을 자초했다. /제공=헌법재판소
윤석열 대통령 탄핵심판을 맡고 있는 문형배 헌법재판소장 권한대행이 과거 SNS에 '거짓말'로 글을 썼다는 의혹이 커지고 있다. 문 대행의 거짓말 논란은 헌재의 정치적 편향에 대한 국민 저항이 커지고 있는 가운데 불거진 것이어서 귀추가 주목된다.

6일 정치권에 따르면, 문 대행은 14년 전이었던 2010년 9월 11일 자신이 블로그에 '유엔묘지에서 이삭의 집까지'라는 제목의 글을 올렸다. 이 글에서 논란이 됐던 부분은 6·25남침을 막기 위해 우리나라를 도운 유엔군에 대한 문 대행의 평가였다.

당시 문 대행은 글에서 "16개국 출신 유엔군 참전용사들은 무엇을 위하여 이 땅에 왔을까? 전쟁의 방법으로 통일을 이루려는 자들은, 제1차 세계대전을 거치면서 좋은 전쟁이란 낭만적 생각에 불과하다는, 인류의 보편적인 깨달음을 몰랐을까? 전쟁의 방법으로 통일을 이룬다면 완전한 통일이 될 수도 없을 뿐만 아니라 얻는 것보다 잃는 것이 더 많다는 것을 그들은 몰랐을까? 묘역을 돌면서 내 머리를 떠나지 않는 단어는 '평화'였다"라고 썼다. 이 글에서 문 대행은 '유엔 16개국 참전용사들이 전쟁을 통한 통일을 하려고 했다'는 자신의 생각을 쓰고 있다.

해당 글에 대한 논란이 확산되자 문 대행은 지난달 29일 자신의 페이스북에서 "원문을 읽어보시죠"라며 해당 블로그 글의 링크를 게시하고 반박했다. 하지만 과거 글과 달리 문 대행이 링크를 첨부한 글은 "전쟁의 방법으로 통일을 이루려는 자들은 북한을 가리키고 그들의 침략을 규탄한다"는 문장이 추가돼 있었다.

이에 대해 정책평론가인 장성철 전 국민의힘 제주도당위원장은 "누가 봐도 이 글에서 '그들'은 문맥상 유엔군을 지칭한다"며 "문 대행이 논란이 일자 '전쟁의 방법으로 통일을 이루려는 자들은 북한을 가리키고 그들의 침략을 규탄한다'라고 했지만, 문맥상으로만 놓고 봐도 이것 또한 14년 전 원문을 고쳐 증거를 인멸한 거짓말로 보인다. 이런 사고를 가진 문 대행의 판결을 국민 누가 받아들이겠는가"라고 지적했다.
한대의 기자

ⓒ 아시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제보 후원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