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아시아투데이 로고
행안부, 넙치·김·전복 수급 예측 모델 개발…수산물 가격 안전성 향상

행안부, 넙치·김·전복 수급 예측 모델 개발…수산물 가격 안전성 향상

기사승인 2024. 06. 13. 16:52
  • 페이스북 공유하기
  • 트위터 공유하기
  • 카카오톡 링크
  • 주소복사
  • 기사듣기실행 기사듣기중지
  • 글자사이즈
  • 기사프린트
페이스북 사용자 활동 예측 및 광고 수익 예측모델 활용
20240613_154741
넙치(광어) 종자 판매단가, 생산량 및 판매량 예측 개념도. /행정안전부
정부가 데이터 분석 예측 모델을 활용해 김과 넙치(광어), 전복 등 수산물을 종자 단계부터 안정적으로 수급할 수 있도록 관리한다.

행정안전부는 지난해 8월부터 올해 2월까지 약 6개월간의 개발 기간과 이후 3개월간의 시범 활용 기간을 거친 '수산종자 수급 예측 모델'을 수산 정책 현장에 본격 활용한다고 13일 밝혔다.

이번 예측 모델 개발은 국내 대표 어종으로 꼽히는 넙치(광어), 김, 전복 3종을 대상으로 이뤄졌다. 2023년 기준 넙치의 생산 금액은 6460억원으로 수산물 중 가장 크고, 김은 6300억원으로 뒤를 이었다. 전복은 5400억원 수준이다.

생산 금액과 소비량이 많은 이들 품목의 가격은 국민 생활에 미치는 영향도 큰 만큼, 종자 단계에서부터 체계적 수급 관리의 필요성이 컸지만, 그간 다른 유통단계에 비해 상대적으로 관심이 적었다.

모델개발 과정에서는 분석 대상 3종과 관련된 수산종자와 수산 양식물 수급현황 데이터, 치어 방류실적 데이터, 기후 통계 데이터 등 10종의 공공데이터가 활용됐다.

분석 모델링 도구로는 페이스북에서 사용자 활동 예측과 광고 수익 예측 등에 활용되는 '페이스북 프로펫' 모델이 사용됐다. 공유 숙박업체인 에어비앤비에서 특정 지역과 기간에 숙박 수요를 예측하는 데에도 사용된 바 있다. 이 모델을 활용해 2021년부터 이뤄지고 있는 '수산종자 생산업 실태 (전수)조사' 데이터와 과거 종자 데이터 등을 분석·학습한 뒤 미래의 종자판매 단가, 생산량과 수요량을 예측했다.

연구진은 분석모델을 통해 예측된 값과 전수조사 방식으로 이뤄진 과거 실태조사 값 간 비교 등을 통해 성능을 검증했다. 분석모델이 예측한 예측값 범위 안에 한국수자원공단이 시행한 실태조사 결과 값이 포함되면서 현장 활용성이 높은 것으로 확인됐다.

올해 초 개발된 이번 모델은 지난달까지 진행된 시범활용 과정에서 국가통계로 매년 시행 중인 '수산종자 생산업 실태조사'의 정확도를 높이는 데 우선 활용됐다.

공단은 모델을 통해 확인된 예측치와 실태 조사 값 간 차이가 큰 경우 심층 조사를 통해 통계의 정확도를 높였다. 그 결과, 수산종자 생산업 실태조사는 통계치 공표 2년만에 통계청 주관 국가통계 품질진단에서 93.9점을 받아 최고 수준인 '우수 등급'을 받았다.

행안부는 앞으로 예측 서비스 이용 범위를 점차 넓혀간다는 방침이다. 모델개발 과정에서는 넙치, 김, 전복의 데이터가 활용됐지만 다른 어류, 해조류, 조개류 등의 수산종자 수급 예측에도 활용할 수 있다.

아울러 판매가격과 수급 상황 등에 대한 예측을 바탕으로 종자 단계부터 체계적으로 관리할 수 있어 수산물의 가격 안정성을 확보하는 데에도 도움이 될 것으로 행안부는 기대하고 있다.

공단은 앞으로 구축 예정인 '수산종자 통합관리시스템(가칭)'에도 이 모델을 탑재해 종자생산·유통 관련 기관과 수산종자업 관계자, 어민 등에게도 안정적인 서비스를 제공할 계획이다.

이용석 행안부 디지털정부혁신실장은 "수산종자 수급 예측 모델 활용을 통해 수산물의 보다 안정적인 수급과 물가 안정 효과를 거둘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후원하기 기사제보

ⓒ아시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