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아시아투데이 로고
개혁신당 허은아 “한동훈 ‘채상병 특검법’ 수용 환영… ‘조건부’는 꼼수”

개혁신당 허은아 “한동훈 ‘채상병 특검법’ 수용 환영… ‘조건부’는 꼼수”

기사승인 2024. 06. 24. 10:18
  • 페이스북 공유하기
  • 트위터 공유하기
  • 카카오톡 링크
  • 주소복사
  • 기사듣기실행 기사듣기중지
  • 글자사이즈
  • 기사프린트
발언하는 허은아 대표
허은아 개혁신당 대표가 24일 오전 국회에서 열린 최고위원회의에서 발언하고 있다. /연합뉴스
허은아 개혁신당 대표가 한동훈 전 국민의힘 비상대책위원장이 고(故) 채 상병 순직 사건 수사 외압 의혹 특검법을 수용하겠다는 의사를 밝힌 것에 대해 "환영한다"면서도 '제3자 특검 추천권' 등을 조건으로 내건 것에 대해서는 "시간끌기 꼼수"라고 했다.

허 대표는 24일 국회에서 열린 최고위원회의에서 한 전 위원장의 특검 수용 의사 표명과 관련해 한 전 위원장의 과거 발언 등을 거론하며 "일말의 진정성도 느껴지지 않는다"고 비판했다.

그는 "지난 5월 21일 윤석열 대통령이 '채상병 특검법'에 거부권(재의요구권)을 행사했을 때 한 전 위원장을 침묵으로 일관했다. 해외직구 제한에 대해서는 페이스북에 글을 올리며 즉각 반응하던 분이 젊은 해병대 병사의 사망 사건에는 지금껏 일언반구, 아무 말도 하지 않았다"며 "지난 3월 한 전 위원장은 '특검은 수사가 잘못되거나 부족한 점이 드러날 때 하는 것'이라면서 윤 대통령의 메모장을 대신 읽는 듯 말했다. 3개월 사이에 수사 기관이 그 무슨 거대한 잘못이라도 했던 건가"라고 따졌다.

허 대표는 또 "(한 전 위원장은 특검법 수용과 관련해) 자신이 당 대표가 되면 특검법을 발의하겠다는 전제조건을 달았다"면서 "젊은 해병대 병사의 죽음의 진실을 밝히는 일과 자신이 당 대표가 되는 일, 둘 사이에 대체 무슨 상관관계가 있는 건가. 필요하다면 지금 당장 하면 되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그는 "채 상병 사망 사건의 스모킹건인 대통령실과 국방부, 해병대 사령부 사이의 전화 통화는 작년 7월 말에 집중돼 있다"며 "이동통신사가 통신 기록을 보존하는 기간이 1년인데, 국민의힘 당 대표 선거는 오는 7월 23일이다. 자신이 당 대표가 되면 특검법을 발의하겠다는 이 말, 의도가 너무 뻔하지 않나"라고 말했다. 이어 "피의자가 수사기관에 출두하기 싫어 몸이 아프다, 사업이 바쁘다 온갖 핑계를 대고 그 사이에 증거를 인멸하고 서로 말맞추는 시간끌기 꼼수, 특수부 검사였던 한 전 위원장이 더 잘 알고 있을 것"이라며 "지금 본인이 그대로 하고 계신 것"이라고 지적했다.

허 대표는 그러면서 한 전 위원장을 향해 "(특검법을) 지금 당장 제출하라. 별로 어렵지도 않다"며 "대법원장 추천 운운하고 있는데, 현재 제출된 특검법에서 자구 몇 개만 고치면 되는 일이다. 범야권의 특검 법안에 수정 제안만 하면 되는 것"이라고 촉구했다.
후원하기 기사제보

ⓒ아시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