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아시아투데이 로고
[FTA 설문조사] 스마트팜 농가 88% “생산성·품질 향상…노동력·비용 절감”

[FTA 설문조사] 스마트팜 농가 88% “생산성·품질 향상…노동력·비용 절감”

기사승인 2021. 11. 22. 18:18
  • 페이스북 공유하기
  • 트위터 공유하기
  • 카카오톡 링크
  • 주소복사
  • 기사듣기실행 기사듣기중지
  • 글자사이즈
  • 기사프린트
운영 농가 92% "지속적 확산 필요"
장애요인으로 투자비 부담 등 꼽아
비도입 농가 78% "도입 의향 있다"
기술·자금·컨설팅 등 정책지원 강조
basic_2021
정부의 스마트팜 정책이 농업 현장에서 긍정적 효과를 가져오는 것으로 나타났다.

아시아투데이의 설문조사에 참여한 스마트팜 도입 농가 대다수가 스마트팜 시스템 적용 후 경영활동, 생산성·품질 향상, 노동력 절감, 비용 감축 등에서 도움을 받은 것으로 조사됐기 때문이다.

비도입 농가 중 80% 이상은 스마트팜 필요성에 대해 찬성하는 것으로 나타나 현장에서의 스마트팜에 대한 만족도 역시 높은 것으로 조사됐다.

단 스마트팜의 지속적 확산을 위한 정부의 정책적 지원의 필요성에 대해 스마트팜 도입 농가, 비도입 농가 대다수가 의견을 같이했다.

우선 스마트팜 도입농가를 대상으로 ‘스마트팜 도입 후 만족도’에 대한 의견을 물었다.

이와 관련해 설문조사 참여자 중 ‘만족한다’가 57.7%로 가장 높았고, ‘매우 만족’도 30.8%로 나타났다.

스마트팜 도입 후 경영활동과 생산성 및 품질 향상에서 효과를 보고 있는 것으로도 조사됐다.

각각 69.2%, 65.4%, 57.7%의 응답 비율을 보인 것이다. 비용을 줄이고 노동력을 절감하는 데 ‘스마트팜이 도움을 주고 있다’는 응답도 각각 53.8%, 61.5%로 과반 이상을 훌쩍 넘었고, 영농 편의성 증대 관련해서도 69.2%가 만족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김창길 서울대 특임교수는 “경영과 생산성 향상, 노동력절감, 영농편의성 등 여러 요소를 종합하면 스마트팜 도입 농가 대다수 만족하는 것으로 평가된다”고 분석했다.

이 같은 긍정적 효과로 인해 향후 스마트팜의 규모를 현재보다 확대하겠다는 응답도 61.5%로 나타났다.

김 특임교수는 “스마트팜 규모 확대 계획에 도입 농가 61% 넘게 응답했다”면서 “스마트팜의 미래는 긍정적인 것으로 평가된다”고 설명했다. 특히 도입 농가의 92.3%가 ‘한국 농업 발전을 위해 지속적인 스마트팜 확산이 필요하다’고 답했다.

단 스마트팜 도입 장애요인으로는 ‘투자대비 경영성과 불확실성’이 42.3%로 가장 높았고, ‘많은 조기 투자비’(30.8%), ‘스마트팜 운영기술 부족’(7.7%) 순이었다.

결국 스마트팜을 확대 촉진할 수 있는 방안으로 ‘투자대비 경영성과 불확실성 해소’(38.5%)가 높게 나타난 것도 이 때문이다.

이어 ‘기술·시설 도입자금 및 운영자금 지원강화’(26.9%), ‘스마트팜 관련 컨설팅 및 교육 프로그램 강화’(19.2%) 등 정부의 정책적 지원을 주문했다.

김 특임교수는 “(설문조사)스마트팜 도입농가의 표본수가 26곳으로 비교적 적은 것에 아쉽다”면서도 “(정부의) 많은 관심과 지원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실제 농업에 종사하고는 있지만 스마트팜을 활용하지 않고 있는 비도입 농가 다수 역시 스마트팜의 필요성에 대해서는 부정하지 않았다.

‘한국 농업 발전을 위해 지속적인 스마프 팜 도입이 필요하다’는 질문에 88.5%가 ‘그렇다’고 답한 것이다. ‘아니다’는 3.3%에 불과했다.

‘향후 스마트팜을 도입하겠다’는 응답도 78.7%에 달했다.

이처럼 스마트팜 도입 의향을 갖고는 있지만 ‘투자대비 성과 낮음’, ‘잦은 스마트 기자재 고장으로 활용도 저하’, ‘기자재의 비표준화로 인한 낮은 호환성’, ‘시공업체의 A/S지원 서비스 부족’ 등 각종 현실적 제약 요인으로 인해 선뜻 도전하지 못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이 같은 문제 해결을 위해 정부의 정책적 지원이 시급하다는 지적이다.

김 특임교수는 “경제적 측면이 (비도입 농가에게) 큰 애로 요인인 것으로 나타났다”면서 “적절한 정책적 지원이 마련된다면 스마트팜 보급이 크게 확대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비도입 농가 역시 스마트팜 도입을 촉진할 수 있는 방안으로 ‘기술·시설 도입자금 및 운영자금 지원 강화’, ‘스마트팜 도입에 따른 성과의 불확실성 해소’, ‘농가가 테스트 할 수 있는 시설 운영’, ‘스마트팜 관련 컨설팅 및 교육프로그램 강화’ 등을 꼽았다.

김 특임교수는 “향후 스마트팜 분야에서 시군농업기술센터의 역할이 잘 이뤄질 수 있도록 기술지도와 농가 교육 등 적절한 대응 방안이 마련돼야 할 것으로 생각한다”고 조언했다.
후원하기 기사제보

ⓒ아시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