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아시아투데이 로고
“재택치료 아닌 ‘재택관찰’ 우려”…재택치료 전면 시행에 불안 가중

“재택치료 아닌 ‘재택관찰’ 우려”…재택치료 전면 시행에 불안 가중

기사승인 2021. 11. 30. 17:24
  • 페이스북 공유하기
  • 트위터 공유하기
  • 카카오톡 링크
  • 주소복사
  • 기사듣기실행 기사듣기중지
  • 글자사이즈
  • 기사프린트
재택치료 받은 확진자들 "관리 허술해 불안했다"
전문가, 준비되지 않은 재택치료 전면 시행에 우려
"위중증 환자 비율 급증, 국민 전체 위험 빠뜨리는 것"
서울 코로나19 확진
25일 오전 서울 중구 서울광장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임시 선별진료소에서 시민들이 검사를 받기 위해 대기하고 있다. /연합
서울 강서구에 사는 직장인 김모씨(26)는 최근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확진 판정을 받았다. 가벼운 몸살기 외 별 증상이 없었던 김씨는 생활치료센터 입소 대신 재택치료를 선택했다. 하지만 그는 “시간이 지날수록 후각이 사라지는 등 증상이 발현돼 걱정되는데도 열흘의 치료 기간 동안 의료진과 통화한 건 단 두 번뿐이었다”며 “의료진의 실시간 관리를 받는 생활치료센터에 비해 방치되고 있는 것 같아 불안했다”고 털어놨다.

30일 정부와 방역당국이 전날 발표한 ‘전면 재택치료’를 골자로 하는 특별방역대책에 대한 우려의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기존 무증상·경증 확진자들 중 동의자들을 중심으로 시행되던 재택치료 시스템에 여러 미비점들이 발생했음에도 불구하고 전면 재택치료를 시행하는 것에 대한 비판이 제기되는 것이다. 특히 가족과 함께 아파트나 공동주택에 거주하는 확진자의 경우, 격리 자체가 어려워 감염을 더욱 확산시킬 수 있다는 지적도 나온다.

특별방역대책에 따라 재택치료자는 확진 후 또는 증상 발현 후 10일간 재택치료를 받게 되고 이 기간 동안 동거 가족도 자가격리를 해야 한다. 재택치료 기간인 10일이 지나면 곧바로 격리해제가 가능하지만, 동거인의 경우 코로나19 백신 접종 완료자가 아니면 확진자의 접촉자로 분류, 재택치료 종료 후 10일간 추가 격리를 해야 한다.

하지만 현재도 관리 허술과 의료 인력 부족, 확진자 병원 이송 기준 미비 등 제기되고 있는 여러 문제들이 특별방역대책이 시행되면 더욱 심각해질 것이라는 우려의 목소리가 나온다. 특히 실제 코로나19 확진 후 재택치료를 경험했던 시민들도 불안감을 토로했다.

경기도 용인에 거주하는 대학생 윤모씨(24)도 지난달 20일 코로나19 확진 판정을 받았다. 윤씨는 백신접종을 완료했음에도 기침 증상이 심해 당초 생활치료센터 입소를 선택했다. 하지만 자리가 없어 오래 기다려야 할지도 모른다는 보건소의 안내를 듣고 재택치료로 변경했다.

윤씨는 “확진 판정을 받고도 증상이 계속 있었지만 주말 이틀 간 아무런 조치가 없이 무방비 상태에 노출돼있었다”며 “지인에게 약을 사서 집 앞에 놓아 달라고 부탁해서 버틸 수 있었다”고 토로했다.

특별방역대책이 발표되자 온라인 커뮤니티를 중심으로 네티즌들 사이에서도 ‘재택치료라 쓰고 재택방치로 보이는 건 저만인가요?’, ‘재택에 있다가 갑자기 상태가 심각해지거나 급성 쇼크라도 오면 어떻게 되는 건가요’, ‘국가가 국민에 책임을 떠넘기는 것 같네요’ 등 여러 부정적인 반응을 내놨다.

전문가 역시 준비되지 않은 재택치료 시행이 감염을 더욱 확산시킬 수 있다며 강한 우려의 목소리를 표했다.

천은미 이대목동병원 호흡기내과 교수는 “재택치료가 아닌 ‘재택관찰’을 하겠다는 것 아닌가. 돌파감염과 변이바이러스 등으로 인한 위·중증 환자 비율이 급증하고 있는데도 확진자를 집에 두고 증상이 심해질 때까지 그저 지켜만 보겠다는 것”이라며 “현재 재택치료 시스템은 ‘치료 자체’가 이뤄지지 않고 있는 시스템”이라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확진자가 가족과 이웃 등으로부터 제대로 격리되지 못하고 치료도 받지 못한 채 감염이 계속 확산된다면 이것이야 말로 국민 전체를 위험에 빠뜨리는 것”이라며 “특히나 고령층과 기저질환자 등 감염 취약계층과의 철저한 격리가 필요한 상황에서 재택치료 시행은 상당히 위험하다”고 우려했다.

한편 지난 10월 동작구 아파트 집단감염 당시 전파 원인으로 아파트 환풍구 등이 지목됐던 것과 관련해 재택치료에서도 비슷한 우려가 나온다는 취재진 질문에 보건복지부 관계자는 이날 “환기구 등을 통한 감염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며 감염 확산 여지를 사실상 인정했다.
후원하기 기사제보

ⓒ아시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