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아시아투데이 로고
한경연 “차등 지원 안심소득제, 보편지급보다 소득격차 완화 효과 커”

한경연 “차등 지원 안심소득제, 보편지급보다 소득격차 완화 효과 커”

기사승인 2021. 08. 05. 13:35
  • 페이스북 공유하기
  • 트위터 공유하기
  • 카카오톡 링크
  • 주소복사
  • 기사듣기실행 기사듣기중지
  • 글자사이즈
  • 기사프린트
명동 소규모 상가 공실률 43.3%
서울 명동거리./연합뉴스
소득에 따라 저소득층을 차등 지원하는 안심 소득제가 소득과 상관없이 일정액을 지급하는 보편지급형 기본소득제보다 소득격차 완화 효과가 크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전국경제인연합회 산하 한국경제연구원은 이같은 내용을 담은 ‘안심 소득제의 비용과 경제적 효과’ 보고서를 5일 발표했다.

안심 소득제란 기준소득 이하 인구에 기준소득과 경상소득과의 차액 50%를 지원해 소득이 늘수록 처분가능소득이 증가하도록 하는 제도다.

보고서는 안심 소득제에 필요한 예산을 29조7437억원으로 추산하고, 연산일반균형(CGE) 모형을 통해 해당 예산을 안심 소득제, 보편지급형 기본소득제, 현행 복지제도의 확대에 사용할 경우 각각의 효과를 분석했다.

분석 결과 안심 소득제는 처분가능소득의 지니계수를 7.0%, 5분위 배율을 24.7% 감소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니계수는 0과 1 사이 숫자로, 숫자가 커지면 소득불균등이 심해지는 것을 의미한다. 5분위 배율은 상위 20%의 소득 평균을 하위 20%로 나눈 값으로, 수치가 커지면 고소득층과 저소득층 간 소득 분배가 불평등해지는 것으로 볼 수 있다.

반면 보편지급형 기본소득제는 지니계수와 5분위 배율을 각각 1.2%, 3.7%밖에 감소시키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현행 복지제도의 확대에 따른 감소분도 각각 2.2%, 4.5%에 불과했다.

안심 소득제의 소득격차 완화 효과가 가장 탁월하다는 결론을 내릴 수 있는 대목이다.

보고서는 정부로부터 가계로의 이전소득은 노동 공급을 줄이는 소득효과를 유발하는데 안심 소득제는 이러한 소득효과도 가장 적다고 강조했다.

안심 소득제 시행 시 실업률은 0.03%포인트밖에 오르지 않았지만, 보편지급형 기본소득제와 현행 복지제도의 확대는 각각 실업률을 0.30%포인트 상승시켰다.

특히 안심 소득제 실시로 소득 1분위와 소득 2분위의 실업률이 각각 1.4%포인트, 0.18%포인트 줄어 빈곤 완화에도 도움이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취업자 감소도 안심 소득제는 18만6000명에 그쳤지만, 보편지급형 기본소득제와 현행 복지제도는 각각 21만9000명과 27만7000명에 달했다.

국내총생산(GDP) 감소분도 안심 소득제는 0.24%에 불과했던 반면 보편지급형 기본소득제와 현행 복지제도의 확대는 각각 0.54%와 0.49%나 됐다.

안심 소득제가 소득격차 완화를 넘어 노동시장과 거시경제에 미치는 영향에서 가장 우수하다는 것이 보고서의 주장이다.

이에 따라 보고서는 안심 소득제 중 기준소득에서 경상소득을 뺀 금액의 50%를 지원하는 안을 제안했다.

대상은 연간 소득이 4인 가구 기준 5536만원(2019년 기준 중위소득)이하인 가구로 전체 가구의 45%인 917만5000가구가 해당하며 평균적으로 가구당 연 500만2000원을 받을 수 있다.

보고서를 작성한 박기성 성신여대 교수는 “안심 소득제는 기존 복지제도의 사각지대를 해소하고 더 채워주는 범(汎) 복지제도”라며 “복지·노동·보건 사업 예산이 2020년 대비 2023년 73조원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는데 안심 소득제에 필요한 예산은 이의 40.7%에 지나지 않는다”라고 밝혔다.
후원하기 기사제보

ⓒ아시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