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아시아투데이 로고
‘한·미 백신 파트너십’ 도출까지 ‘긴박한 2주’의 시간 있었다

‘한·미 백신 파트너십’ 도출까지 ‘긴박한 2주’의 시간 있었다

기사승인 2021. 05. 27. 15:05
  • 페이스북 공유하기
  • 트위터 공유하기
  • 카카오톡 링크
  • 주소복사
  • 기사듣기실행 기사듣기중지
  • 글자사이즈
  • 기사프린트
한·미 외교 실무진 백신 합의에 앞서 2주 간 긴박한 논의
청와대 '미국의 백신 기술 및 원부자재 공급능력과 한국의 생산능력 결합' 결론
정상회담 하루 앞두고 '백신 파트너십' 최종 합의
문 대통령, 바이든 미 대통령과 크랩케이크 오찬
문재인 대통령이 지난 21일(현지시간) 백악관에서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과 크랩케이크로 오찬을 하며 대화하고 있다./ 사진=청와대 제공
한·미 정상회담에서 ‘한·미 백신 글로벌 파트너십’에 합의하기까지 문재인 대통령과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 간 충분한 사전 조율이 있었던 것으로 27일 알려졌다.

한국과 미국의 외교 실무진은 백신 합의가 나오기 전까지 2주 간 긴박한 내부 논의를 이어가며 최종 조율을 한 것으로 전해졌다. 기존 한·미 정상회담은 안보 회담이라는 말이 나올 정도로 연합사 등 한·미 동맹과 관련한 것이 주를 이뤘으나 이번엔 백신 확보에 많은 관심이 쏠렸다.

이번 정상회담에서도 미국에게 얼마나 많은 백신을 확보할 수 있느냐가 최대 화두였다. 이와 관련해 청와대는 지난 9일부터 비서관들을 중심으로 관련 논의에 들어갔고 ‘미국의 백신 기술 및 원부자재 공급능력과 한국의 생산능력 결합’이라는 결론을 내리고 백신 확보에 주력했다.

이는 수석급 논의를 통해 문 대통령에게 보고됐고 최종적으로 승인된 것으로 알려졌다. 지난 4월 말 바이든 대통령이 “미국이 다른 나라들을 위한 백신의 무기고가 되겠다”는 발언 이후 한·미 백신 협력에 관한 관심도가 높아졌다. 정부는 한국의 바이오 생산능력이 백신 공급 확대를 위한 미국의 입장과 일치하다고 보고 관련 사안을 강력히 추진한 것으로 알려졌다.

청와대는 지난 11일 미국에 백신 파트너십과 관련한 제안서를 보냈고 미국이 즉각 호응하면서 한·미 간 긴급 전화회의도 3차례 이뤄진 것으로 전해졌다. 문 대통령은 지난 17일 “백신 협력을 강화하고 백신 생산의 글로벌 허브로 나아가는 계기로 삼겠다”는 발언을 하며 백신 확보에 대한 자신감을 보이기도 했다.

미국은 한국에 ‘한국이 백신을 얼마나 생산할 수 있는지’, ‘원부자재 확보는 가능한지’, ‘인도태평양 국가로서 얼마나 기여할 수 있는지’ 등을 물어온 것으로 알려졌다. 수차례에 걸친 협의 끝에 한·미는 정상회담을 하루 앞둔 20일 백신 협력을 위한 최종 합의에 이르렀다.

이 결과로 두 정상은 한·미 공동성명에서 ‘전염병 공동 대응 역량 강화를 위해 포괄적인 한·미 글로벌 백신 파트너십을 구축하기로 합의했다’는 문구를 도출할 수 있었다. 문 대통령의 방미 기간 삼성바이로직스와 모더나사의 백신 위택생산 계약이 즉시 이뤄지면서 한·미 간 백신 협력도 본격화하고 있다.
후원하기 기사제보

ⓒ아시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